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다시 학력고사 시대로 돌아갔으면 좋겠어요

그냥 조회수 : 4,343
작성일 : 2011-11-12 16:45:40

학력고사 시대입니다.

무작정 암기시대다 어쩐다 하는데

어쨌든 공부하는데 암기는 기본 아닌가요?

 

학원 못 다녔고 과외도 못 했던 시절이었고

그때도 불법고액과외 받는 애들은 다 받았다 하시지만

그게 뭐 그리 많지도 않았고

해봤자 크게 도움되는거 같지도 않았고.

어쨌든 교과서랑 EBS 딸딸 외워서 시험보면 공정했잖아요

 

에지간히 공부하고 사는 집 애들은 죄다 특목고,자사고 가고

그런 애들 수시로 뽑고

입시도 빈익빈 부익부 되는거 같애요.

 

연예인들이건 정치인들이건 유명한 사람들 애들은 거의 다

외국 유학하거나 특목고 가더라구요.

 

 

IP : 59.7.xxx.246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글쎄
    '11.11.12 4:49 PM (121.166.xxx.67)

    전 수능 세대라 학고가 어떤진 모르겠지만
    최소한 학고는 단답현 주관식이라도 있었지
    수능은 죄다 찍는 거라......

    진짜 공부 실력은 학고라는 얘기 저도 친구들과 대학교 때 한 적 있었어요...
    근데 그 땐 또 죄다 암기라......영어 사전 통째로 씹어 공부하고도
    커서 영어 한 문장 말하기도 힘든 분도 많은 것 같더라구요

  • 2. ㅇㅇ
    '11.11.12 4:55 PM (211.237.xxx.51)

    저도 학력고사 세대인데 백프로 객관식이였어요
    보기 4개중에 답은 하나

  • 글쎄
    '11.11.12 5:02 PM (121.166.xxx.67)

    그렇군요 저희 언니때 보니 주관식 문제도 풀고 있길래
    그럼 도대체 뭐가 달라진 걸까요 학고에서 수능은

  • ㅇㅇ
    '11.11.12 6:52 PM (222.112.xxx.184)

    학력고사 세대 중 수능 넘어가기 전 몇년은 선지원하고 후시험 봤을때 대학 가서 시험보고 그랬었어요.
    그때 주관식 시험도 있었어요. 수학은 객관식도 있고 주관식으로 풀이와 답까지 썼어요.

  • 3. 학력고사세대인데
    '11.11.12 5:04 PM (222.237.xxx.82)

    아무리 암기형 공부라고 해도
    그때 점수 잘 나온 애들...평소에도 머리(?) 좋은 애들이었어요.
    결코 이상한제도가 아니였죠.
    그리고 아무리 쉬어도 지금처럼 물시험이란..말도 없었던 것 같구요.
    그리고 지금 수능세대 학생들이 그럼 영어회화 줄줄 합니까?

    전 학력고사시대로 돌아가기 바래요.
    단지 그때 힘들었던건 하루만에 모든것이 결정되어버린다는것...
    콘디션 안좋거나..그러면 모든 것이 허물어진다는 것이었는데

    학력고사를 2~3회로 봐서 평균점수로 나누면 실수나 운빨 이런거 다 커버해주고
    진정 실력으로 대학 갈겁니다.

    지금은 전형료만 수시 몇개 넣으면 100만원이 넘고
    국영수과외에다가 논술과외에다가
    입학사정관준비에 돈 써야지
    그외 스펙쌓느라 똔 써야지
    참,
    우리때는 영어도 성문이나 맨투맨으로 공부하고 과외도 이런 책들로 받았죠?
    요즘은...듣기과외 , 말하기과외. 문법과외. 독해과외..거기다 인증시험과외..따로 따로 받네요

    고생과 비용에 비해 과연 애들 실력이 늘어났는지
    한번쯤 점검해 볼 필요는 있는 듯 합니다.

  • 글쎄
    '11.11.12 5:13 PM (121.166.xxx.67)

    제가 요즘 입시를 잘 모릅니다 님 말씀도 맞겠죠
    전 다만, 그렇게 엄청난 실력을 쌓고도 커서 그걸 발휘를 못한다면
    그 제도 또한 효용성이 의심되는 게 아닐까 한 거죠
    수능 세대는 영어 잘한다는 게 아니구요
    수능 영어가 사전 씹어먹을 필요도 없죠 사실....
    학고 세대 언니 중 한명은 수능영어 얼마나 어렵나 하고 신문 사서 봤다가
    걍 전철안에 서서 다 풀었다며.....

  • ㅇㅇ
    '11.11.12 6:53 PM (222.112.xxx.184)

    학력고사때도 내신 중요했었어요. 내신 등급에 따라서 대학 갈렸어요.

  • 4. 제발요
    '11.11.12 5:15 PM (115.41.xxx.10)

    시험 형식은 수능이어도 선발방식은 예전 학력고사 때처럼 그냥 줄 세워 하는게 좋겠어요.
    수시에 논술에 정시에 매 번 드는 돈은 엄청나고요. 방법을 몰라서도 못하겠어요.
    시험을 1년에 두 번 이상 봐서 젤 높은 점수로 지원하거나 합산해서 내거나 해서
    수험생 골탕 먹는 지금의 방식은 바뀌었으면 좋겠어요.
    특수목적고부터 없애야하는데 참...

  • 5. 제발요
    '11.11.12 5:17 PM (115.41.xxx.10)

    대학들 배 불리고 대학들 입맛대로 고르는 입시.
    교육수혜자는 완전 골탕먹는 제도예요. 어쩌다 이리 되었는지 에혀.

  • 6. 글쎄요님
    '11.11.12 5:20 PM (222.237.xxx.82)

    말씀하신게 바로 맞아요. 학고출신인 제가 아까 영어듣기 한번 들어봤는데 저희때랑 수준차이가 없어요. 저도 학력고사때 영어만큼은 점수가 높았고 영어랑 별 상관없는 인생을 살고 있는데 제가 잘 알아들을 정도란건....학력고사때 영어가 엉터리가 아니라는것...또는 요새 아이들수준과 맞지 않게 너무 쉽다는것...그걸 증명하는것 아니겠어요? 차라리 영어를 어렵게 내던가 해서 수능을 강화하는게 낫죠. 이상한 도박같은 사정관이나 논술 다 폐지하구요...대입이 도박이 아닌 적어도 성실하게 한걸음 한걸음 달려온 사람에게는 정직한 시험이어야죠..

  • 글쎄요
    '11.11.12 8:17 PM (121.166.xxx.67)

    전 수능 내신 본고사 논술 딱 이정도로 대학갔고
    그나마 논술 본고사는 다들 준비가 안되어 있어서 (선생님들도 어찌 가르쳐야 할지 잘모름)
    다 오십보백보 였어요
    수능도 사실 모르면 3번 아님 4번에 줄 세워도 성적 왠만큼 나올 지경이어서
    저도 요즘 고딩이면 대학 제대로 못갔겠다 ㅅ ㅣㅍ어요

  • 7. 00
    '11.11.12 6:30 PM (92.75.xxx.202)

    무조건 암기인 학력고사보다는 수능 시험 자체는 좋다고 생각해요. 근데 학생들 뽑는 시스템을 들어보니 가관이네요. 돈없으면 지원조차 못하는 데 이것이야말로 가난의 대물림.

  • 8. 특목고를
    '11.11.12 6:34 PM (14.52.xxx.59)

    없애는것과 지금 입시제도가 무슨 관계가 있나 몰라요
    특목고 지원하는 엄마들 붙잡고 물어보면 거의 공교육 몰락을 이유로 듭니다
    그애들이 특목고 가서 대학을 잘가는게 아닙니다,
    중학교때 성적만 가지고봐도 오히려 내신땜에 피보지만 학교분위기때문에 가는거죠
    사교육도 특목고가 덜 받아요,단가는 비싼건 인정합니다,
    수시의 특기자전형도 합격자 잘 보세요,특목고가 반도 안되요,물론 인원대비하면 많은거지만
    본인만 노력하면 내신 바탕으로 더 승산있는 게임이잖아요

  • 특목고
    '11.11.12 7:45 PM (115.41.xxx.215)

    특목고 가려면 그만큼 더 선행이 되어있어야하니
    초등생부터 학원으로 내몰리죠. 초등에 중등수학,영어 끝내야하고
    중등엔 고등수준 줄줄,,,일반고는 무너지구요.
    특목고는 민사고,외고 두어개,과학고 두어개만 남기고 없어지면 좋겠어요.

  • 흔히
    '11.11.12 8:18 PM (14.52.xxx.59)

    그렇게 알고 계시지만 그렇지 않아요
    과고애들이 특기자 전형으로 대학가는건 그애들은 언외가 안되기 십상입니다
    몇년간 수학 과학만 특화하다보니 자연히 그렇게 되버리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외고애들도 입학하면 수학이 결정한다라는 말은 그애들이 선천적이든 후천적이든 수학에 약해서 그런거구요
    일반전형으로 외고 간 애들은 생각보다 탭스같은거 그렇게 잘 나오지도 않아요,
    국내파의 경우 900넘으면 그이상 올리기가 상당히 버겁습니다
    민사고는 아마 관심있는 분들은 아실테니 생략하지만,,일반적으로 알려진것보다 상당히 침소봉대된 측면이 많습니다
    선행 안되고 중등에 고등 줄줄,,이런애 몇명 없어요ㅡ그리고 그런애들은 일반고에도 많~~습니다
    의대 가는 애들은 전략적으로 일반고 가거든요

  • .....
    '11.11.13 12:19 AM (182.208.xxx.67)

    특목고 솔직히 비싼 공식 입시학원에 불과하죠.
    특목고가 그 목적에 맞게 운영이 되었다면 이런 이야기도 안나오겠지만 대학 입시에만 몰두하는 학원에 불과하니 이런 이야기가 나오는 거죠. 외고 졸업생 중 외고 설립목적에 맞게 진학하는 아이 몇이나 되나요?
    공교육 몰락이라는 것도 웃긴 이야기인게 일반고에서 입시 학원 교육 제대로 못한다고 생각하기에 그런 식으로 이야기 하거든요. 공교육 몰락했다는 사람들 머리에는 공교육 몰락 = 입시교육 못함 이 등식이 항상 존재하죠.
    그런 분들이 보내는 특목고, 대입 결과 안좋으면 특목고 보내는 부모들 대부분 돌아설겁니다.

  • 9. 커피향
    '11.11.12 7:10 PM (180.71.xxx.244)

    이젠 대학도 기업화... 그냥 장삿꾼 같아요.
    저도 학력고사로 갔음 좋겠어요.
    오늘 설명회 듣고나니 죄다 이런 글만 눈에 들어오네요.
    어쨌든 돈이 많이 좌지우지 할 것 같고, 컨설팅 회사만 배 부르겠어요.

  • 10. 그게..
    '11.11.12 9:12 PM (218.234.xxx.2)

    학력고사 시절에 찍기를 잘하면 대학을 잘 갈 거 같지만 결국 99.999%는 자기 실력대로 점수 나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712 SBS앵커의 쒝시한 멘트~ 14 참맛 2011/11/17 3,267
38711 "MB 하야하라…세 달 뒤 복귀 요청하겠다" 6 ^^별 2011/11/17 1,667
38710 아들 아이가 점퍼를 자꾸 잃어버리고 와요. 7 두둥실 2011/11/17 1,866
38709 애슐리..카드 9 된다!! 2011/11/17 6,037
38708 찜질팩과 떨어질 수 없어요. 2 현수기 2011/11/17 2,162
38707 초5딸아이를 가진 36살 싱글맘입니다. 31 생각하기 나.. 2011/11/17 13,042
38706 치아교정기 망가져서 무료로 몇번 교체하셨어요? 1 교정기 2011/11/17 1,561
38705 8명정도 식사할 좋은 장소 추천해 주세요.. 3 연말모임장소.. 2011/11/17 1,287
38704 오늘 키톡에 꼭 들어가 보세요... 1 마음이 2011/11/17 2,190
38703 느려터진 우리아이 오늘 빛의 속도로 달려가네요 3 ㅎㅎㅎ 2011/11/17 2,176
38702 짜증나여 ㅠㅠ 오전 9시부터 저녁 6시까지 아파트 정전 ㅠㅠㅠㅠ.. 4 막아야 산다.. 2011/11/17 1,731
38701 아주아주 촉촉한 파운데이션과 팩트.... 어떤 게 좋을까요? 5 도움좀.. 2011/11/17 2,667
38700 초5여자아이인데 블랙헤드가 넘 심해요 5 뭘 써야하나.. 2011/11/17 4,644
38699 11월 17일 미디어오늘 [아침신문 솎아보기] 세우실 2011/11/17 998
38698 관리자님)왼쪽 '최근 많이 읽은글' 좀 업데이트 해주세요~ 5 2011/11/17 1,440
38697 급질)백화점에서 받은 사은품을 썼는데 산물건을 반품하려는데 처리.. aa 2011/11/17 1,665
38696 펑펑 울 수 있는 슬픈영화 추천해주세요 28 울고싶어 2011/11/17 4,675
38695 스키장이나 눈썰매장에서 아이 옷차림좀 봐주세요~ 7 .. 2011/11/17 2,117
38694 신혼여행 후 이바지음식... 7 으랏찻차 2011/11/17 10,981
38693 난소 혹 제거 8 얼마나 2011/11/17 3,505
38692 11월 17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서울신문 만평 1 세우실 2011/11/17 1,403
38691 경기는 하락하고 유가는 오르는 최악의 현상 3 ㅠㅠ 2011/11/17 1,726
38690 8주동안 15키로 가능할까요? 꼭 빼야할일 있어요(직장문제) 13 ㅎㅂ 2011/11/17 8,129
38689 재벌가 며느리된 여배우 외모 뜯어봤더니..‘공통점 있다 1 아침부터 2011/11/17 6,055
38688 근종. 3 질문. 2011/11/17 2,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