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음대 청음에 대해 질문 좀 드릴게요...

작곡지망생 조회수 : 2,158
작성일 : 2011-11-11 13:54:21

안녕하세요?

작곡을 전공 하고자 하는 고 1 딸  ,9월부터 청음 ,화성학 시작하면서

피아노도 다시 시작했습니다.

고2 중반부터 베토벤 소나타 시작하고,  그 전까지  기본기 다지자고 하시네요.

 

학원에서 청음 테스트해봤는데 하얀건반은 다 맞추는데,  검은 건반은 실력이 딸리나봅니다.

 

청음이 좋아야, (타고나야) 작곡과 진학 한다는데요,

이런 정도면 음대 지원, 공부 해도 되겠는지,

평범한 능력이니  포기 시켜야하는지 고민이예요.

 

음대가 수학을 안 보다보니  음대 지원 하려면 수학을 접고,

관련 과목을  집중하려는데

소질이 없는데  음대 시키는거 아닌지,

수학 접어서 나중에 후회되지 않을지 망설여 집니다.

 

저의 고민에 조언을 좀 부탁드립니다....

(시켜봐라...,,  말리는게 좋다,,,등등, 어떤 말씀이라도  부탁드립니다 )

 

 

IP : 218.52.xxx.161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Pianiste
    '11.11.11 2:00 PM (125.187.xxx.203)

    작곡과도 대학을 어디 지원하냐에 따라서
    하내야한 청음 수준이 달라질듯 한데요.
    그런데, 하얀 건반을 정말 다 맞춘다면
    검은 건반맞추는건 훈련을 열심히 하면 늘어요.
    제가 가르친 학생들은 확실히 늘긴 하더라구요.

    게다가 지금 중2라면 훈련할 시간도 어느 정도 보장된 듯 한데요.

  • 2. 00
    '11.11.11 5:07 PM (222.106.xxx.201)

    작곡과 수능 수학봅니다. 어제 서울대 13년도 입시요강 발표보니 음대는 올 수시라서 수능을 안본다고 하는데 어찌 바뀔지 모르고, 지원학교 요강이 어떨지 모르니까 다시 한번 확인하세요. 그리고 흰건반 청음이 가능하다면 윗님 말씀대로 검은 건반은 훈련으로 가능하다고 봅니다. 조금 시기가 늦은 감이 있는 것 같은데, 그것도 노력으로 극복된다고 생각합니다.

  • 3. 원글
    '11.11.11 6:00 PM (218.52.xxx.161)

    노력하면 훈련으로 가능 하다니 뜯어 말리지는 말아야겠네요.

    수능 수학 시험은 보지만 아직은 반영하는 학교가 없었는데 앞으로는 어찌될 런지 모르겠네요.

    작곡가 졸업후 진로가 안좋다하니 마음이 무거워지네요.

    대학 가서도 레슨 받아야 하는건 생각도 못했는데 새로운 사실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소질 적성도 중요하지만, 사교육비에 대한 압박감이 좀 오네요....ㅠㅠ

  • 4. 작곡과
    '11.11.12 1:08 AM (59.12.xxx.162)

    화성청음도 보는데요 본인이 나중에 스트레스 받을 수도 있어요
    단선율만 (검정건반 듣더라도) 들을 줄 안다면 인서울은 어려울 것 같아요
    화성청음. 협화음이면 어느정도 들리는데
    불협 아무꺼나 코드 눌러버리는 걸 듣는 건 무지 어려워요. 이건 타고 난 애들만이......

  • 5. 작곡전공
    '11.11.12 5:48 PM (121.166.xxx.189)

    저는 절대음감이었고 우리과애들 피아노실력은 피아노과애들만큼 피아노 잘쳤구요 내신등급도 높았어요. 대학가서 레슨은 사교육이아닌 자기 담당교수님께 레슨받는데 등록금내잖아요? 들어가는게 문제가아니라 들어가서가 문제죠. 곡두써서 연주시간에 올려야하고 그리고 나와서 피아노,작곡 레슨도하고 잘풀리는경우는 교수도하구요. 저는 20년전에 한달 아르바이트로 150-200정도 벌었어요. 지금은 가정주부로 있구요. 짬짬이 이론가르치구요. 쉽지않아요. 피아노 실기도 만만치않구요.청음실기에는 화음도 다구별하고 그려야해요. 쉽지않아요. 레슨선생도 잘만나야하구요. 화이팅!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605 SBS의 눈치보기 1 해야 2011/11/16 1,623
38604 신형냉장고? 김치냉장고? 4 준2맘 2011/11/16 1,635
38603 이렇게 생긴 모자는 어디가야 살수 있나요??? 8 가을호박 2011/11/16 2,093
38602 일산고 조리학과 내신 어느 정도야 가는가요?? 1 오희경 2011/11/16 2,662
38601 안철수 기부에 짜증내는 '조중동' 8 아마미마인 2011/11/16 2,581
38600 지령받고 움직이는 선전선동지 한겨레 safi 2011/11/16 1,411
38599 어제 피디수첩보고. 야동순재 너무 싫어요. 8 경악 2011/11/16 8,492
38598 이제는 연락할 수 없는 한때의 절친들... 2 씁쓸하다 2011/11/16 2,856
38597 콩비지는 얼리면 안되는건가요? 뭐가 잘못된 건지 ... 4 요리중 급질.. 2011/11/16 2,412
38596 최근 많이 읽은 글 변화가 없네요 8 .. 2011/11/16 1,753
38595 다이알비누가 여드름에 좋다고 12 비누 2011/11/16 8,074
38594 낼 소풍가는데요.. 3 따뜻한 김밥.. 2011/11/16 1,022
38593 박원순시장 취임식에서 빨갱이라고 외친 영상 보셨나요? 8 밝은태양 2011/11/16 2,018
38592 진짜 이해 안가는 딸 친구엄마 33 진씨아줌마 2011/11/16 14,522
38591 청계광장에서 한미FTA 저지 촛불문화제 하고있네요 1 생방송 2011/11/16 1,237
38590 인플란트 할때 피 많이 나나요 5 인플란트 2011/11/16 2,295
38589 싸이콘서트 4 싸이 2011/11/16 1,449
38588 [악기] 우쿨렐레..아시는 분 계신가요? 6 질문녀 2011/11/16 2,433
38587 아이들 공부습관 잡아주는 학원? 1 고민중~ 2011/11/16 1,865
38586 시댁에서 배추 500포기 김장~~ 두둥~~ 27 wind 2011/11/16 12,876
38585 벤츠 중고차 구입하려고 하는데 어디서 알아보아야하나요? 4 rrndrm.. 2011/11/16 1,857
38584 신들의 전쟁 (약간의 스포일러 있어요) 3 미키루크 2011/11/16 1,598
38583 (급) 5학년 음악교과서 있으신분~~ 2 햇볕쨍쟁 2011/11/16 1,518
38582 목도리 길이를 어느 정도 해야 예쁜가요? 2 사과 2011/11/16 7,000
38581 리큅 건조기 환경호르몬에서 안전할까요? 7 리큅^^ 2011/11/16 5,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