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ADD(주의력 결핍) 궁금해요.

속상해요 조회수 : 6,199
작성일 : 2011-11-10 23:01:18

얼마전 산만한 아이에 대한 글이 올라와서 우연히 보다 주의력 결핍(ADD) 증상을 알게되었습니다.

저도 제 아이를 의심했는데 과잉행동 장애가 없어서 거의 몇년을 고민하다가 주시하면서 지켜보았습니다.

가끔 정말 ADHD인것 아닌가라는 생각과..잘하는 것도 많아 아이에 대한 기대감도 함께 있어서 주시만 하면서

좀 지켜보자라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글을 읽고 대학병원에 가서 검사를 오늘 받고 왔습니다. 검사자가 주의력결핍증세가 보인다는 코멘트를 해주시더라구요.

자세한 결과는 안나왔지만 내가 궁금해서 물어보니 임상검사자가 아마 진단이 나올것 같다는 말을 하니..참 ..찹찹합니다.

그동안 초1 아이 힘들게 했던것...내가 임신해서 너무 극도의 스트레스가 아이에게 영향을 주었나 하는 자괴감...

한편으로는 우리나라 교육환경이 아이를 더 힘들게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들고 아이를 어떻게 키워야 하는가라는

걱정도 듭니다..

3-4시간 검사받고 자고 있는 아이를보니 못나도 예뻐도 내 아들..이게 엄마의 마음이겠지만 괜히 눈물이 납니다.

궁금한 점이 놀이(?)치료와 약물치료중 결과에 따라 처방이 나오겠지만...주의력 결핍인 아이들

약 먹으면 정말 괜찮아지나요?약도 부작용도 있는것으로 아는데.. 초1아이 벌써 먹으면 성인될때까지 먹어야 하는지..

약먹으면 정말 없던 주의집중력이 생길까요

그래도 점점 학업능력이 많이 떨어지겠지요? 정말 주의력 결핍인 사람 공부잘하기 힘들다면 공부이외에 아이의 재능을 찾아주어야 할것 같아요. 

IP : 112.148.xxx.22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너무
    '11.11.10 11:10 PM (175.211.xxx.162)

    상심 마시구요.
    일단 이 중상은 사춘기까지만 잘 키우면 대개 좋아지는 경우가 많아요.
    그리고 제 주변에 이 증상을 가진 아이들이 좀 있었는데
    한 아이는 매일 약을 먹고 학교를 오는데
    약 먹으면 차분하제 생활을 해요.
    특히 수학에는 매우 뛰어난 재능을 보이고요.

    옛날에는 그저 심하게 부산스러운 아이로 알고 있다가
    크면 또 괜찮다고 하잖아요.
    엄마가 많이 힘드시겠지만 차분하게 더 알아보시고, 힘내시기 바래요~

  • 2. 참고하세요
    '11.11.10 11:10 PM (59.3.xxx.28)

    http://www.sangdam.kr/encyclopedia/cp/adhd/adhd8.html

  • 3. 여러가지
    '11.11.10 11:11 PM (14.48.xxx.110)

    원인이 있지만, 정확한 원인파악은 아직 못한걸로 나오구요.
    유전적인 영향이라고 하니 너무 자괴감은 갖지 마세요.
    이건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과잉행동만 없으면 충분히 약아닌 대체요법으로 치료가 가능하리라 생각하는데요.물론, 병원에서는 약외에는 없다고 하지만,,
    일단은 엄마랑 주위환경이 변해야 약발도 섭니다.
    야단치는거 멈추시고요,아이에게 마음의 안정을 주세요.제일 큰 약효과는 엄마의 관심과 사랑입니다.

  • 4. 용기
    '11.11.10 11:12 PM (121.128.xxx.133)

    이런 경우 어머니의 양육방법을 다시 되돌아 봐야 합니다.
    양육 태도가 바뀌지 않으면 아이는 심리상담만으로 호전되기 어렵거든요.

    아이 심리상담 받을 때, 함께 받으시면 도움 되실 거에요.
    양육 쇼크란 책도 한번 읽어보세요

  • 5. 저는
    '11.11.10 11:25 PM (180.65.xxx.131)

    물론 엄마가 열심히 공부하고 아이를 이해하고 도와줘야 하죠.
    대학병원마다 다르겠지만, 개인병원보다 의사샘과 자유롭게 이야기 하기 힘든
    의사샘도 있더라구요.. 취조하듯이 혹은 시간이 별로 없으니까 편하지 않았던거 같아요.
    학업능력이 떨어지기 전에 함께 공부해야하고 옆에서 공부를 끼고하는 기간이
    보통애들보다 길다고 생각하고 잘 돌봐주세요.. 좋아지죠. 무슨 병도 아니구요
    시간이 지나면 다 해결될 문제니까 힘내세요..

  • 6. 반전문가
    '11.11.10 11:36 PM (119.64.xxx.195)

    관련 분야의 일을 했다가 육아로 쉬고 있어요. 약물치료와 놀이치료 병행을 권하지만 약물치료는 진통제와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되요. 너무 아플 때 약을 먹으면 좀 덜 아프잖아요? 마찬가지로 약을 먹으면, 좀 덜하구요 아이에 따라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요. 주로 폭식이나 아님 정반대... 그 밖에 아이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놀이치료는 꼭 병행하시길 권하구요 부모상담시간에 아이의 양육방법이라던가 아이의 특성에 대해 잘 파악하시기 바랍니다.
    꼭 엄마 양육잘못이 아닌 기질적인 것도 원인의 하나니 너무 죄책감은 안가지셨으면 좋겠네요.

  • 7.
    '11.11.10 11:38 PM (211.244.xxx.108)

    크면 나아져요..
    제 사촌이 둘이나 ADHD 이였는데 지금은 둘다 그렇게 과묵할 수가 없어요...
    어려선 진짜 산만해서 많이 혼났던 아이들인데 지금은 말이 없어요

  • 8.
    '11.11.10 11:38 PM (112.148.xxx.198)

    잘하셨어요..
    정확한 진단을 받는게 얼마나 큰 도움이 되는데요.

    제 조카가 ADD에요. 일명 조용한 ADHD요.. 멍~ 하죠.
    어른들이 얘기할때 , 자기 일 하면서도 '그래서 어떻게 되었다고요?' 하고 끼어들기 일쑤고요.
    문제 풀어보라고 하면 가만히 바라보고 있어요.
    10분이면 풀 문제를 3시간 동안 멍~하게 바라보면서 어른들 얘기에만 끼어들지요.
    그 조카가 일부러 그러는게 아니라는 걸 잘 알기 때문에
    되도록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려고 유도하고 있어요..

    꼭 좋아질꺼에요. 특히 사춘기 지나고 나면 많은 부분이 좋아지니까 너무걱정 마시고
    그전에 아이의 행동을 조금씩 교정시켜주세요.

  • 9. 큰서점에 가면
    '11.11.10 11:46 PM (99.226.xxx.38)

    이와 관련한 책들이 많이 있어요. 엄마가 읽고 아이에게 도움르 줄 수 있는 책들도 많이 나와있더라구요.
    까페들도 있다고 알고 있구요(다음이나 네이버).
    오히려 문제가 있다고 하면 반은 해결이 된거나 마찬가지거든요.
    가족이 도와주어 아이가 자존감이 떨어지지 않게 해주시는게 가장 중요한 것같아요.
    제 아들아이도 많이 산만하고 집중력이 떨어져서 학업성적도 썩 좋지 않고 했어요.
    저는 진단 받으러 가지 않고, 제가 열심히 공부해서 아이를 도와주었어요.
    지금은 청년인데, 대학다니고 있구요, 자신이 정신 바짝 차리면서 컨트롤 하면서 잘 지내요.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대신, 지금부터는 부모가 열심히 공부하시고 아이를 도우셔야 합니다.

  • 10. ㄹㄹㄹ
    '11.11.11 6:56 AM (115.143.xxx.59)

    아들이 대부분 많죠..그러나 약물치료하면 너무 좋아집니다.그리고..대부분 유전이래요..자책마세요.

  • 11.
    '11.11.11 10:33 AM (180.66.xxx.102) - 삭제된댓글

    '아이의 뇌를 읽으면 아이의 미래가 열린다.'-
    '내 아이에겐 분명 문제가 있다'-도서출판 소소
    각각 2권의 책인데요 도움이 될겁니다.
    미국 전문가가 쓴건데 실례를 바탕으로 썼어요.

  • 12. 경험자
    '11.11.11 4:05 PM (211.226.xxx.41)

    울 아들이 딱 그 케이스입니다.
    학업부진도 있었지만 무엇보다도 교우관계에서 너무 문제가 많아서
    진단받고 치료받은 경우예요.
    약의 효과를 말씀드리자면 저희 아이의 경우 적절한 약과 용량을 바로 찾을 수 있어서
    효과는 좋아요.
    하지만 다른 아이들의 경우 적당한 약을 찾는데 시간도 많이 걸리고
    그 약 찾기 전에 부작용으로 애먹는 경우도 보았습니다.

  • 13. 원글
    '11.11.11 4:55 PM (112.148.xxx.22)

    제가 새벽에 스마트폰으로 보고 지금에야 컴에 앉아 감사인사 드립니다.
    용기주신분,,따뜻하게 조언해주신 분 모두 감사드립니다. 진단이 아직 안나왔지만 참 마음이 찹찹하네요.
    제가 그렇게 강하지 않아서.. 이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용기잃지않고 버틸 자신이 좀 없어요..
    엄마가 강해야 하는데...엄마가 먼저지칠까..아이에게 상처주지 않을까..이래저래 고민입니다.

    아이때문에 직장을 그만두고 돌본지 4년... 노력한다고 했는데...참 끝이 없는것 같아요..
    관련 서적 알려주셔서 감사드리구요..혹 약물 부작용이 식욕부진이나 폭식 외에는 없나요?
    엄마가 무지하네요..주말에 관련서적을 뒤져서..사봐야 할것 같습니다.
    모든 분들꼐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저에게 혹시 조언이나 경험을 알려주시면 더 감사하겠습니다.
    제 이메일은 renny34298@naver.com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14. 경험자
    '11.11.11 5:34 PM (211.226.xxx.41)

    저희 아이가 먹는 약은 식욕부진과 불면증이 부작용이예요.
    다른 약은 잘 모르겠어요.
    식욕부진은 처음에 좀 그러다 요즘은 잘 먹고요.
    잠이 잘 오지 않는 문제때문에
    저희는 아침 일찍 약을 먹입니다.
    처방받는 약마다 그 부작용이 달라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5738 창원 마산 진해 사시는 82회원 분들께 도움요청합니다. 9 훈련병 엄마.. 2012/01/31 3,350
65737 수내동 피아노 학원 추천해주세요 2 초등3학년 2012/01/31 2,190
65736 와이파이에서 아이튠즈는 아이폰으로 바로 접속되는건가요 1 와이파이 2012/01/31 1,287
65735 친정 엄마가 뇌경색으로 쓰러지셔서 치료받고 있는데 병원선택 도움.. 5 뇌경색 질환.. 2012/01/31 3,875
65734 팔만대장경 꽂혀있는것밖에 볼 수 없나요? 6 해인사 2012/01/31 1,894
65733 남상미라는 배우말이에요... 65 2012/01/31 15,440
65732 홍대리치몬드도 오늘까지만 영업한다네요.. 24 아쉬어라.... 2012/01/31 3,748
65731 남의편이라는 사람과 싸우고 말거의안하기를 이제 무려 18일 4 냉랭 2012/01/31 2,666
65730 다음에 드라마관련 글 읽었는데요. 3 해품달 2012/01/31 1,710
65729 컴프로그램 번들용 cd 1 2012/01/31 1,399
65728 마음따뜻한 이야기-버스안의 한소녀 5 마음따뜻한 2012/01/31 2,859
65727 베란다 샷시 가격차 많이 나나요? 이르러 2012/01/31 3,481
65726 조카 쌍꺼풀 시켜주려는데 잘하는 곳 아시는 분? 6 옹옹 2012/01/31 2,682
65725 박원순, 강용석에 “번지수 잘못 찾았다” 일축 5 단풍별 2012/01/31 2,462
65724 나꼼수 아직 안 나왔나요? 4 ,, 2012/01/31 1,827
65723 시부모님 현금영수증 등록 하시도록 하시나요? 9 궁금 2012/01/31 1,888
65722 휴지통 추천 부탁드려요 1 청소 정리 .. 2012/01/31 1,415
65721 세금 관련해서.. 부양가족 등재(?).. 조언 부탁드립니다. 4 조언요청 2012/01/31 1,270
65720 소금물을 "찌우다"는 무슨 의미일까요? 4 요리책에서 2012/01/31 1,489
65719 기자·피디 500명 ‘MB씨의 MBC, 반성합니다’ 10 참맛 2012/01/31 1,367
65718 점집 좀 추천해 주시면.. 감사합니다. 3 차이라떼 2012/01/31 2,051
65717 참여정부는 역대 최악의 정부였다. 7 러닝머슴 2012/01/31 1,625
65716 늦은 나이인데, 나이차가 있는 남자와의 만남은 어떤가요?? ㅠㅠ.. 32 화려한 싱글.. 2012/01/31 5,286
65715 [10.26 부정선거] 1 말머리 2012/01/31 854
65714 입주위 잡티는 기미가 아니죠? 3 아이피엘 2012/01/31 2,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