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등 과학에 대해 잘 아시는 분 계시면 알려주세요

궁금 조회수 : 2,274
작성일 : 2011-11-06 18:51:34

제 아이가 내년 고1올라갑니다

내년에 과학 과정이 개정되어

융합 과학이란 걸 배운다고 하는데요

그게 어떤 과목인가요?

요즘 아이가 시간적 여유가 많아서 인강(메가***에서 융합 과학 과목이 있네요)함 들어보라고 하고 싶은데

들은 가치가 있을가요/

,융합과학이란 것이 중학교때 배웠던 과학과 전혀 다른 내용인가요

좀 전문적인 내용의 문의라 댓글이 달릴지..

아시는 분 계시면 꼭 알려주세요..

 

 

IP : 220.125.xxx.215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원글
    '11.11.6 7:07 PM (220.125.xxx.215)

    아ㅡ 그런가요
    융합과학이란 단어가 넘 어렵게 느껴져서 괜히 겁먹은 거 같네요^^

    댓글 감사드려요..

  • 2. ..
    '11.11.6 7:20 PM (114.207.xxx.90) - 삭제된댓글

    이름만 바뀐건가요.. 저희 아이도 중3 이고 이제 고1 되는지라 관심 있어서 들은바는 융합과학이
    좀더 까다로워 졌다고 들었어요..
    범위도 좀 광범위해지구요.. 심한경우는 대학전공서적에 나오는 어느 부분도 인용해서 수업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저도 문과갈 아이지만 이번겨울 특강이라도 한번 듣게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중이에요
    고2 짜리 큰 아이도 자기 재수하면 안된다고 하더라구요..
    우스개 소리로 지금 고1 애들 융합과학이나 과탐 부분이 많이 어려워져서 힘들다고
    자기들끼리는 얘기하는거 같아요..
    제가 잘 몰라서 그런지는 몰라도요..
    그냥 이름만 바뀐 과학은 아닐꺼에요..

  • 이분 말이 맞아요
    '11.11.6 7:54 PM (14.52.xxx.59)

    그래서 지금 고등학교에 융합과학을 가르칠 선생이 없다는 말도 나오는 실정이구요
    이걸 수능에서 빼고 지금처럼 물화생지 1,2로 본다는 말이 있어요
    아마 인강에도 진정한 융합과학은 없을겁니다
    아이가 이과지망이라면 그냥 물화생지 따로 듣게 하세요

  • 3. 원글
    '11.11.6 7:22 PM (220.125.xxx.215)

    관심있는 댓글들 감사합니다
    함 맛보기로 인강 듣게 하려구요
    ...

  • 4. 원글
    '11.11.6 9:01 PM (220.125.xxx.215)

    아 애들이 무슨 실험용 동물도 아니구
    미래에 대한 예측없이 교육과정을 이리저리 바꾸고 그러나요
    정말 애들 교육에 관해서만큼은 어느 누구도 불이익 받지 않게 신중히 해줬으면 좋겠네요
    좋은 정보 감사드려요..

  • 5.
    '11.11.7 11:23 AM (175.112.xxx.53)

    작은애도 고1이 되는데요.
    저도 과학이 걱정되어 어제 학원에서 과학 가르치시는 샘이랑 통화했어요.
    샘말씀이
    어려워졌다면 어려워졌고,쉬워졌다면 쉬워졌다고도 볼 수 있는
    약간 애매하대요.
    과학보다는 기술에 가깝다고 생각할수도 있다네요.
    그러면서 저보고 융합과학 선행하지 말고
    이과 갈 애면 물리랑 화학을 한번 선행하는게 더 낫다고 하시네요.
    그래서 전 물리랑 화학을 방학때 한번 훑을까 생각중이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3286 루이비통 소피아코폴라 미듐 가격 얼마일까요? 2 갑자기궁금 2012/01/24 1,832
63285 그냥 주절거리고 싶은... 나만의 소소한.... 그냥 회사이야기.. 16 777 2012/01/24 2,775
63284 중성적인 이름이요 9 네이밍 2012/01/24 3,674
63283 외국인 남자친구... 50 vaster.. 2012/01/24 22,348
63282 왜 아직도 안철수냐고?.... 1 지형 2012/01/24 861
63281 친정식구들과 명절 지내기 5 레몬향 2012/01/24 2,138
63280 품위유지비 얼마나 쓰세요? 4 .. 2012/01/24 4,489
63279 칼국수 미는 판 5 ... 2012/01/24 1,227
63278 조카 대학선택 도와주세요 10 진로선택 2012/01/24 2,313
63277 30대 미혼인 여자분들 저축 몇% 하시나요? 25 생활비 2012/01/24 4,886
63276 형부가 마음에 안 들어요. 4 ㄷㄷㄷ 2012/01/24 2,738
63275 다시 일어설수 있나요? 3 나이 마흔 2012/01/24 1,789
63274 홈쇼핑에서 파는 길쭉한 전기 후라이팬.. 명절때 참 좋네요.. 19 ... 2012/01/24 6,902
63273 내일(25일)도 귀경길 차 막힐까요? 1 ,,, 2012/01/24 851
63272 중1학년 올라갑니다. 2 인강 2012/01/24 1,263
63271 어찌해야할까요. 의견좀 주세요. 1 갈림길 2012/01/24 1,139
63270 불맛내는 일본 분말형소스가 있다는데 이름아시는분 계세요? 6 코드인사 2012/01/24 4,208
63269 남은만두속 냉동해도 7 괜찮나요? 2012/01/24 6,693
63268 코스트코 회원증이 없이.. 1 코스트코 2012/01/24 1,819
63267 임신준비하기 전에 꼭 풍진예방주사 맞아야하나요?? 6 dd 2012/01/24 6,165
63266 많이 신 총각김치로 할 수 있는 요리가 있나요? 8 반짝반짝 2012/01/24 6,399
63265 편두통이 지속되는데... 뭘어떻게해야할까요? 5 답답함 2012/01/24 1,908
63264 정신과 치료 받을 때요.. 보험문제........... 2 잉명 2012/01/24 1,743
63263 친정없는 명절에 시댁에서 시누 맞이하기 10 휴=3 2012/01/24 3,836
63262 김어준의 뉴욕타임스157 보세요. 8 재밌어요. 2012/01/24 2,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