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그럼 자식 성향 파악이 잘 되시나요?

궁금 조회수 : 2,148
작성일 : 2011-11-01 10:55:56

요 아래 부모가 좋은 대학 어쩌구 쓴 사람인데요

자꾸 글 올려 죄송해요

너무 궁금해서요

많은 책에서 보면 엄마가 중요하다

아빠보단 엄마가 아이랑 같이 하는 시간이 많고

아이를 잘 관찰하면 아이가 뭐가 필요한지

아이가 어떤 직업을 가지는 게 좋은지 파악 할 수 있다고 나와요

잘 보래요 저 이부분을 한 5번은 겹치게 본 거 같아요

교육서를 이것저것 읽다보니까

물론 책은 항상 이상적인 내용이 많은데

저 딴에는 많은 책을 읽는 사람으로 통하는데

솔까말로 교육서 봐도 내 자식 대체 어느 방향으로 봐야할지 모르겠어요

때론 내가 뭘 좋아하는지 뭘 직업으로 가졌어야 맞았을지 지금도 사실 모르겠거든요?

여러분들은 본인 잘 아세요?

나도 날 잘 모르겠는데 자식 파악 하려니 통 모르겠어요

진짜 멍청한 질문 하고 가네요

암튼 자식 성향 파악 잘해서 쭉~~밀고나간

유명인들 엄마들 정말 존경 스러워요

성공한 스포츠인

성공한 음악인

성공한....자꾸 성공한 하니 좀 그런데 그 부모님들이 더욱 대단하게 보이네요

 

 

 

IP : 222.116.xxx.226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한 번에가 아니라
    '11.11.1 11:05 AM (211.207.xxx.10)

    계속 파악해 나가는 과정이지요.

    자식 성향 파악하고 싶으시면, 하루 세줄 일기 쓰세요.
    아이가 감탄한 것 화난것 그거 6개월만 해도 대충 아이 성향 파악됩니다.
    굉장히 중요한 질문이시구요, 훌륭한 부모의 가장 중요한 특질 중 하나가 '민감성'입니다.

    과민이나 과열교육이 아니라, 자식의 욕구나 좌절 성향에 민감해야
    힘도 덜 빼고 인지교육도 잘 돼요.

  • 2. ㅇㅇ
    '11.11.1 11:07 AM (211.237.xxx.51)

    .제가 아이 키워본 경험으론 절대 부모가 자식을 어떻게 만들수 없습니다.
    만들었다는 부모도 있겠지만 그건 자식이 부모와 성향이 비슷해서 부모의 기대와
    욕구를 충족해준 경우겠고요..
    실제로 키워보면 현실과 이론은 차이가 많이 있죠.
    다 자기 몫대로 크고 자기 그릇대로 자란다는 말이 맞습니다...

  • 3. 부자패밀리
    '11.11.1 12:19 PM (211.213.xxx.94)

    에효.너무 힘들게 알려고 하지마세요.
    다만 아이가 나와 성향이 비슷한 경우가 있죠.그런경우는 파악이 쉽죠.
    그러나 나와 완전히 다른.거기다 남편과도 좀 괴리가 있으면 파악이 힘들어요.
    남편이랑 닮아도 파악이 좀 힘들거든요.

    그런아이일수록 더 탐색전이 길어지죠.
    아이가 더 크면 성향도 또 보입니다. 이제 아이도 계속 변화해가는 사람이 아니라 나이가 들면서는 성향을 보여줍니다.부모에게.
    그때 내욕심을 버리고 아이를 객관화 시키는 작업이 필요한거죠.
    그리고 나서 우리애 성향에 맞는 여러가지 미래를 생각하는거죠.
    이런건 다 단계가 있고 받아들이는 시기도 다릅니다.
    조금씩 크면서 판단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2332 생 김 어떻게 활용할까요? 6 하니 2012/01/20 1,494
62331 명절에 전 뭐뭐 부치세요? 5 며느리 2012/01/20 1,899
62330 아주 무식한 질문...공인인증서 13 ... 2012/01/20 3,819
62329 강남에 땅 사둔 사람들은 거의 다 부자겠죠? 1 신지 2012/01/20 1,470
62328 올해부터 월급 깎인 회사들 많이 있나요 1 어떤가요 2012/01/20 1,153
62327 목돈을 예금, 적금대신에 ema같은 상품에 넣어도 될까요. 목돈 2012/01/20 1,275
62326 올리브 vada 2012/01/20 844
62325 신장기증 1 ... 2012/01/20 1,070
62324 명절 때 친정에 가면....... 1 자게 글 읽.. 2012/01/20 1,199
62323 떡국 국물내기 뭘로 6 하시나요? 2012/01/20 2,296
62322 원***보쌈집에서요. 오리보쌈을 먹었는데 거기 뭐 따로 들어가는.. 보쌈 2012/01/20 1,053
62321 부드럽게 씹히는 갈비찜가르쳐주세요 5 지현맘 2012/01/20 1,679
62320 강남신세계지하삭품부 어떤가요... 12 tlstp 2012/01/20 2,201
62319 치즈케잌 상온에 놔두면 금새 상하나요? 1 영이사랑 2012/01/20 4,067
62318 [나눔설문] 에너지절약 실태 및 인식조사 4 스마트절전연.. 2012/01/20 986
62317 울 남편 철 없는거 같아요..ㅜ.ㅜ 2 rnfmam.. 2012/01/20 1,477
62316 저좀 달래주세요. 갑자기 욱해요.. 1 또 돌아오네.. 2012/01/20 1,470
62315 주민세..이런 거 연체하면 신용등급 하락? ** 2012/01/20 3,536
62314 비애의 글을 보고... 4 맞벌이 2012/01/20 987
62313 정봉주 노모 “천리인들 못가겠냐” 홍성 면회 2 세우실 2012/01/20 1,430
62312 대전에 철도사원아파트 아시는 분 계세요? 2 이사 2012/01/20 1,020
62311 아~명절이 시러요~~ 8 명절증후군 2012/01/20 1,422
62310 7년된 냉장고 고친다 새로산다? 7 2012/01/20 2,326
62309 콧물감기걸린 초등딸 지금까지 자는데 그냥 두는게 좋겠죠? 3 2012/01/20 821
62308 정수기필터 원재료 관련 잘 아시는 분?(일본산관련..) 고민.. 2012/01/20 1,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