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영어단어 잘되시나요?

궁금해 조회수 : 1,588
작성일 : 2011-10-31 09:44:37

진짜 순수한 궁금증입니다. 밑에 글을 봐도 초등2학년인데도 단어 외우는데 스트레스 받는다는 글을 봐도 그렇고 주위에 영어학원 다니는 애들 봐도 그렇고 영어단어 굉장히 많이 외웁니다.

어떤 학원 보니 하루에 50개 이상은 외우는 것 같은데 그럼 1년이면 1800개정도 되나요?

그렇게 외우면서 고등학생이 되면 어휘가 딸리느니 하는걸 보면 머가 잘못된걸까요?

추가> 중2인 우리애가 학원 안다녀서 그러는데 영어공부에 관심이 많으신 엄마들이 보기에 하루에 몇개정도 외우는 게 적당할가요?

IP : 125.181.xxx.5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0.31 9:52 AM (119.64.xxx.151)

    단어를 외우는데 우리말로 무슨 뜻인지도 모르면서 기계적으로 외우는 경우도 굉장히 많아요.
    아무 생각없이 외워서 단어시험 통과하고 나면 까맣게 잊어 버려요.
    예를 들어 superficial 피상적인 이렇게 외우는데 피상적인이 무슨 뜻인지 모르는 애들이 태반...

    혹은 자기 수준에 맞지 않거나 전혀 알 필요 없는 단어들을 외우는 경우도 많아요.
    예를 들면 초등학생이 무성생식 이런 거 영어로 알 필요 없는데 말입니다.
    무조건 어려운 걸로 해야 애가 실력이 높은 줄 착각하는 부모님들이 많다 보니...

    한마디로 아이들의 영어 실력이 사상누각입니다.

  • 2. 저도궁금
    '11.10.31 9:54 AM (114.205.xxx.236)

    답변은 아니고요...
    저도 초등 울 아이들 학원 아직 안 보내고 집에서 공부(라기보단 자유롭게 듣고 읽기)시키는데요
    그냥 인터넷 사이트나 CD 이용해서 많이 듣게 하고
    내용 중 나온 단어들 한번씩 죽 훑어보는 걸로 마무리 짓거든요. 일부러 달달 외우게 하진 않구요.
    근데 전에 비슷한 또래의 조카를 보니
    고등학생들이나 외움직한 단어장을 들고 하루에 몇 십개씩 외우게 하더라구요.
    막상 요즘 배운다는 리딩교재를 보면 그 수준에 훨씬 못 미치는데도요.
    그렇게 읽기 수준 따로, 외우는 단어 따로 해도 효과가 있는 건가요?
    지금은 써먹지(?) 않더라도 몇 년후를 대비해서 미리 외우는 게 도움이 되는 건지
    좀 의아하더군요.
    저만 태평한 건가 한편으론 걱정도 되면서...

  • 궁금해
    '11.10.31 9:57 AM (125.181.xxx.5)

    제 심정을 잘 말씀 해주셨네요. 학원 다니는 초등애 외우는 단어를 봤더니 후덜덜 했어요. 이거 우리애만 뒤진게 아닌가 싶고 조급해지기도 하고.. 내가 애한테 등불이 되야하는데 애를 우물안 개구리로 키우는게 아닌가 싶고 ....불안하네요. ㅠ.ㅠ

  • 3. 언어 라는 게
    '11.10.31 9:59 AM (222.116.xxx.226)

    노출이 되지 않는 이상 얼마나 힘든지 우리도 공부 해 봐서 알잖아요
    사실 국어만 해도요 안쓰는 단어 갑자기 생각 안나잖아요
    하루에 5개를 외우고 열흘에 50개를 암기 했다 전제해도
    막상 완전한 암기는 40개 건지면 잘하는 거겠죠
    그렇게 겹치는 부분 부분이 완전히 암기되는 것이고요
    그리고 독해 부분에서 단어말 달달 외운다 해도
    해석이 안되는 경우도 많아요
    아니 엄밀히 해석이 달리 되는거죠
    국어와 영어의 차이죠
    국어야 우리가 잘못된 문장을 봐도 아 이것이 뭘 말하는거다
    모국어니까 파악이 되는 경우가 있지만 영어는 안되는거죠
    물론 배경적 지식이나 문화적 지식이 필요한 독해도 있고
    양도 어마어마 하고요
    그것을 다 공부 하거나 혹은 언어적 센스가 있는 사람은
    어느정도 플러스가 되는 차이죠
    일반적인 사람은 그것이 없으니 죽도록 달달 외우거나
    많은 문제를 풀거나 문제적 감으로 문제 해결을 하지요

  • 4. jj
    '11.11.1 12:23 AM (211.237.xxx.123)

    개인적인 단어 공부 경험을 씁니다...
    한마디로 말해서 단어집 달달 외우는 거 소용없었습니다...단어 실력이 향상된 때는 영영사전 죽도록 찾아서
    일일이 그 문장에서 적당한 뜻 찾아봤을 때였습니다...

    그저께 막혀서 찾아본 단어를 예로 들겠습니다...husband...명사로만 알고 있었는데 절약하다라는 뜻이 있더군요...예를 더 들면 habit이라는 단어도 습관이라는 뜻 말고도 수사,수녀등이 입는 옷이라는 뜻을 찾아서 놀란 적이 있었고요...

    이 단어들...쉽잖아요?^^근데 저는 해석을 못해서 사전 찾았습니다...중학교때 자습서에 뜻이 그것밖에 없었으니까 다른 의미가 있다는걸 몰라서였죠...^^

    다양한 영어책을 읽으면서 사전 찾아야 실력이 늡니다...이거 영어 고수들이 매번 하는말 아닌가요?
    그런데 애들 눈 앞의 성적에 연연해서 못하는 거 아닙니까?사실 중학교때까지는 특목고 갈 거 아니면 좀 여유있게 가도 되는데, 다른 애들과의 비교때문에 아니면 엄마 욕심 때문에 그렇게 못하시는거 아닌가요?

    초등학교는 모르겠고 중학교 내신 시험 예를 들어볼께요...제가 본 중학생은 교과서 본문만 암기하면 점수
    잘 받는다고 암기합니다...실제 그렇게 해서 점수도 잘 나왔고요...어떤 학원에서는 교과서 본문에 빈칸 만들어 채워넣기 시험도 본다고 합니다...

    극단적인 사례라고 하셔도 저는 모르겠어요...봤던게 그 경우라서...그런데 이 경우는 절대 실력 향상 안됩니다...그래서 부모들이 중학교때는 영어 잘했는데 고등학교 가서 떨어졌다고 하지요...

    이거...부모님 착각입니다...영어 실력은 없는데 영어 점수만 잘 받아 온 겁니다...고등학교 가서 본문 외우기가 만만치 않으니까 그런 거지요...본문만 나오는게 아니고 부교재도 들어가고 그러니까요...외워서 뭘 하기엔는 무리가 옵니다...

    수능으로 가 볼까요?제작년부터 수능 영어 어려워지기 시작했습니다...에센스 영한 사전 기준으로 대학생용
    단어라는 것들이 주석도 없이 출제되고 있어요...여기서 실력이 구분되지요...많은 문장을 접했으면 단어 몇개
    몰라도 전체 글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소설 읽을 때 단어 뜻 다 몰라도 이해하는 거랑 같은 맥락)
    더 덧붙여서 말하면...다양한 글을 접해 봤다면, 이런 어려운 문제는 그냥 버리고 나머지만 정확하게 풀어도 2,3등급은 받습니다..1등급이요?...그거 전체 학생의 4%입니다..전국에 과고, 외고, 지방 명문고 등등의 정원만 생각해 보셔도 어느 정도 실력인지 대충 감이 오지 않나요?

    글이 길어지는 감이 있어 마무리 짓습니다...

    영어 단어 암기하는 방법은 기계적으로 하루에 몇 개 암기..이런 것보다는 차라리 학생 수준에 맞는 영어 소설
    ,영어 신문, 영어 잡지를 읽는 것이 더 좋습니다...

    모르는 단어는 반드시 사전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사전은 종이 사전이 좋습니다...개인적으로는 영영 사전을 추천하나 영영한 사전,영한사전도 좋습니다..전자사전은 공부하는 때는 좋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모르는 단어에는 형광펜으로 표시합니다...그리고 전체 뜻을 읽고 문맥상 맞는 것을 찾아냅니다...이런 식으로
    표시해 나가면서 a라는 단어를 찾을 때 표시된 단어가 있으면 표시된 것까지 마저 읽습니다...잊어버리면 어떻하냐고요?...다시 찾으면 됩니다...잊어버리는 게 당연하잖아요?...계속 찾다보면 외워집니다...

    영어소설 힘들지 않냐고요?...처음부터 쉬운게 어디 있긴 하나요?...부담스럽지요...모르는 부분이 나오면 어떻게 해야하나?...학교나 학원가서 질문하면 되잖아요?...학생이 열심히 하겠다고 질문하는데 싫어하는 선생
    그닥 많지 않을 겁니다...

    이상 개인적인 경험을 말씀드렸고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890 두 아이를 같은 학원 보내면 혹시 할인이 되나요? 7 피아노학원 2011/11/22 983
38889 박시장, 민노총과 서울지하철 해고자 복직 논의키로 6 ^^별 2011/11/22 1,131
38888 사무실에서 너무 시끄러운 여직원.. 어떻게 얘기할까요.. 6 레이나 2011/11/22 2,895
38887 론스타 행복한 탈출 도운 금융위 3 참맛 2011/11/22 690
38886 홈쇼핑에서 이불을 샀는데요..한달만에 꺼내서 빨고보니 옆구리가 .. 3 홈쇼핑이불 2011/11/22 1,582
38885 중학생이 니체,톨스토이,각종 사회과학서적, 성경 두루탐독하면.... 8 김어준 2011/11/22 2,147
38884 카드사의 꼼수‥30만원이상 써야 혜택 준다 3 세우실 2011/11/22 1,007
38883 쿠팡에서 파는 '액츠' 정품일까요? 5 맑은 2011/11/22 1,363
38882 초2수학 정답은 무엇인가요? 의견을 주세요. 12 소리나그네 2011/11/22 1,046
38881 정말로 친했던 친구와 연을 끊어야할지.. 고민입니다. 52 고민 2011/11/22 14,578
38880 오늘 라면 드실 계획있는분들. 1 라면 2011/11/22 1,124
38879 글이 안보이네요 알콩달콩 2011/11/22 343
38878 피임약을 일년동안 먹었었는데요.. 애엄마 2011/11/22 1,127
38877 이정희·유시민·심상정, 무대 위에서 춤춘 까닭은... 1 ^^별 2011/11/22 1,445
38876 오늘 서울에도 살짝 첫눈이 왔다네요 2 내가 못봐서.. 2011/11/22 747
38875 너무 싱거운 김장김치 어떻게 해야하죠? 4 김장김치 2011/11/22 2,646
38874 주스를 활용해서 만들 수 있는 다양한 요리 jjing 2011/11/22 540
38873 회사에서 직장맘들 보면 거의 입주도우미 쓰는데요... 6 푸코 2011/11/22 3,069
38872 계속 일 하는 모습 응시하는 직장 동료에게 드디어 한마디 했네요.. 10 에휴 2011/11/22 2,908
38871 중학생남자아이가 뛰어가다가 나동그라졌어요... 5 횡단보도 2011/11/22 1,765
38870 방금 학교 일 관계로 선생님께 전화드렸어요 12 아참내.. 2011/11/22 2,529
38869 초등생들 내복 안입나요? 4 ... 2011/11/22 1,434
38868 11월 22일 미디어오늘 [아침신문 솎아보기] 세우실 2011/11/22 632
38867 혼자가는 제주도 .. 16 gksmf 2011/11/22 2,255
38866 미국은 껌 씹는것에 대해서 많이 관대(?)한가요? 2 2011/11/22 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