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6학년 방정식 가르칠때요

.. 조회수 : 1,663
작성일 : 2011-09-02 15:08:12

어쩌다 6학년 수학을 지도하게 되었는데요

등식의 성질을 이용해서 푸는데 아직 이항이라는 개념은 안배우는같더라구요

그래서 문제집 보면 죄다 역계산을 붙여서 푸는데요(x+3=7라면 x+3-3=7-3이렇게요)

원칙을 이해했으면 계산과정 생략시켜 바로x=7-3로 (즉 이항의 원리로)지도하는편이 나을지

학교 시험에서 풀이과정을 꼼꼼히 반영한다면 등식의 성질과정을 계속 쓰게 하는게 나을지 고민됩니다

6학년자녀지도하셨던 학부모님 조언해주셔요

그리고 참 수학시험에서 단위안쓰면  완전 틀리게 하나요?
IP : 59.12.xxx.177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원글
    '11.9.2 3:35 PM (59.12.xxx.177)

    죄송하지만 수학전공 맞고요
    고등수학위주로 가르치다보니 초등학교 시험패턴을 잘몰라서 여쭌겁니다
    중고등아이들은 지도할때 원리 확실히 설명하고 풀때는 되도록 풀이과정을 줄입니다(암산강조로 풀이시간을 줄이게끔)
    그런데 초등아이들은 가르친대로만 풀기때문에 학교시출제경향을 기준으로 지도하려고 한거구요
    초등학교는 시험문제도 볼수가 없어서 풀이과정따로 답 따로 점수가 부여되는지(중고등학교서술형처럼 )아니면 5점짜리 통째로 틀리는지 알고싶어서 여쭌거고 저도 지도할때 물론 단위쓰는거 칼같이 지도합니다
    단위틀리면 그것도 오답 해오라 하구요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 2. 수학 전공하셨다니
    '11.9.2 3:57 PM (58.123.xxx.216)

    잘 알고 계시겠지만, 등식의 성질을 제대로 이해시키고 나서 이항을 이해시켜야 하는 거 아닐까요?
    6학년 과정에서는 등식의 성질을 이용하여 방정식을 풀게 하는 것 같아요...
    (이항은 안 나오는 걸로 알고 있는데... 제 아이 교과서를 슬쩍 보기만 한 거라... 확실치는...않지만요.)
    그래서 우리 애한테는 수평 저울의 원리로 접근해서 이해시킬까 생각 중이랍니다.
    수학을 잘 모르는 저 같은 경우는 그래야 제대로 원리를 깨치게 될 듯 해요..
    그리고 단위나 풀이 과정 같은 경우는 부분 점수를 갂더군요...

  • 3. 이크..
    '11.9.2 4:07 PM (58.123.xxx.216)

    갂 - 깎- 인가요?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983 알러지를 면역치료해 주는 병원 좀 알려 주세요~~ 1 훌륭한엄마 2011/09/05 1,155
9982 추석을 대비해..일주일동안 1킬로 빼놔야 겠어요 -_- 2011/09/05 771
9981 나이탓인지,살이 안빠져요 9 나이탓인가요.. 2011/09/05 3,080
9980 수삼 보관법 좀 5 ... 2011/09/05 2,870
9979 question about tv license (england).. 5 tv lic.. 2011/09/05 962
9978 아 아 안철수님!!! 15 님을 기리며.. 2011/09/05 2,682
9977 밑에 김치 이야기 나와서 하는말인데요 8 rlacl 2011/09/05 1,622
9976 친구 아이 때문에, 친구와 사이가 안좋아요. 56 미혼녀 2011/09/05 8,361
9975 “MB의 비밀은 내가 지킨다” 4 아마미마인 2011/09/05 1,259
9974 제일 웃긴성씨가 뭐라고 생각하세요? 29 . 2011/09/05 6,341
9973 카놀라유... 4 아구___ 2011/09/05 1,688
9972 돌아가신 친정엄마.. 7 며늘 2011/09/05 2,850
9971 추석연휴에 서울 갈만한*볼만한 곳 소개부탁드려요^^ 2 서울구경 2011/09/05 1,412
9970 강쥐덩 때문에 ..... 2 강쥐 덩은 .. 2011/09/05 942
9969 중국비자 어떻게 받으면 되는걸까요? 5 중국비자 2011/09/05 1,257
9968 목감기의 위력. 2 아야 2011/09/05 1,680
9967 상속세 7천만원 정도면 상속액은 보통 얼마인가요? 3 ll 2011/09/05 3,689
9966 MB “기자 없어서 얘기…미 쇠고기 싸고 좋아” (2008.01.. 5 이런일이 2011/09/05 1,719
9965 언니가 불법대출을... 2 도와주세요 2011/09/05 1,337
9964 추석선물로 들어온 굴비 어떡하죠? 방사능 걱정 없나요? 9 맑음 2011/09/05 2,623
9963 조카가 둘인데..선물 살때마다 두명 똑같이 사줘야 하나요? 11 .. 2011/09/05 1,667
9962 주행중에 시동이 꺼져 사고날뻔했어요ㅠㅠ 3 현대차 2011/09/05 1,940
9961 대한민국의 떼법이 사라지길 1 sukrat.. 2011/09/05 772
9960 안철수가 야당 대표로 뛰게 되요 5 어차피 2011/09/05 1,855
9959 이종임김치 어떤가요? 급해요... 3 아만다 2011/09/05 2,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