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와 정대협이 왜 갈등이 생기게 되었는지 밑에 기사를 보면 알 수 있을것 같네요...
일본머니가 갈등을 촉발한거고,,,, 지금도 그들은 웃고 있겠죠
ㆍ일본주도 아시아기금 둘러싼 분열과 일부의 삐딱한 시선 논란
계절이 바뀌고 세기가 바뀌었지만 20년간 이어진 위안부 피해자들의 평화적 저항은 결코 평화롭게 계속되지 못했다. 일본 정부가 주도한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 국민기금’(국민기금) 이후, 위안부 피해자들은 분열을 겪었다. 국내 보수단체의 반대와 일본 정부의 방해도 계속되고 있다.
특히 국민기금 논란으로 인한 분열상은 위안부 피해자들의 저항의 역사에서 가장 뼈아픈 부분으로 남아있다.
국민기금은 1995년 7월에 발족한 일본의 재단법인이다. 이는 일본사회당(현 사회민주당) 소속의 무라야마 도미이치 당시 총리 주도로 세워진 것이다. 이에 앞선 1993년 고노 요헤이 관방장관은 “위안부 문제에 구 일본군이 직간접적으로 개입했다”며 “사과와 반성의 마음을 올린다”고 발표했다. 국민기금의 전무이사를 지낸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는 경향신문 기고문을 통해 국민기금이 “1965년 협정을 전제로, 법적 책임론이 아니라 도의적 책임론에 기초한 국민적 보상의 길”이라고 밝혔다.
10월 12일 열린 수요시위 에서 한 정대협활동가가 시위 참가자들에게 위안부평화비 모형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연합뉴스
국민기금은 와다 교수를 비롯한 16명의 민간인들이 민간으로부터 기금을 모아 필리핀, 대만, 한국인 위안부 피해자 284명에게 총 5억6500만엔(약 82억9250만원)을 지급했다. 1인당 200만엔(약 2900만원)가량을 지급한 셈이다.
하지만 국민기금이 순수하게 모금됐다는 데 대해서는 여러 반론이 존재한다. 1995년 당시 일본 정부는 관방장관을 통해 각 부서에 기금모금 ‘협조’를 지시한 바 있다. 건설장관이 하부기관에 공문을 보내 내부 모금활동을 한 뒤 보고를 올리도록 한 사실도 드러났다.
아시아기금 받은 할머니 정부지원서 제외
위안부 피해자들의 운동에 앞장서온 정대협은 국민기금에 강하게 반발했다. 당시 정대협은 국민기금이 일본 정부 차원의 ‘보상’이 아니라 ‘위로금’으로 보았다. 대부분의 위안부 피해자들도 국민기금에 반대했다. 안선미 정대협 팀장은 “1세대 할머니들도 병상에 누워서까지 반대하던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대신 정대협은 1996년 10월부터 범국민 모금운동을 벌여 위안부 할머니들의 생계를 지원하려고 했다. 하지만 1997년 1월 일본 정부는 한국인 위안부 피해자 7명에게 의료지원금을 포함, 1인당 500만엔(약 7250만원)의 위로금 전달을 강행했다. 이후 정대협은 1998년 5월부터 자신들의 모금액과 정부 예산을 합쳐 위안부 피해자 1인당 4300만원의 생활안정지원금을 지급했다.
이 과정에서 정부는 위안부 피해자들로부터 국민기금을 수령하지 않겠다는 각서를 받았다. 국민기금을 받은 할머니들은 정부 지원에서 모두 제외됐다. 안 팀장은 “이 문제로 일부 할머니들은 정대협이 기금을 막았다며 불신을 가지게 됐다. 또한 일본 정부가 한일협정에도 불구하고 나름 노력을 했다는 변명거리가 됐다”고 말했다.
2000년대 들어 국민기금을 수령한 일부 할머니들과 위안부 피해자 심미자 할머니(2008년 사망)를 비롯한 33명이 ‘무궁화할머니회’를 만들었다. 이들은 2004년 성명서를 내고 “정대협은 형편이 어려운 7명의 위안부 할머니들이 아시아여성기금을 받았다는 이유로 공개적으로 매도했다” “우리 33명을 제외한 나머지는 진짜 위안부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당시 국민기금을 찬성했던 한 인사는 “할머니들이 모두 연로하신데 일본 국민들이 반성하고 모금하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지금 무궁화회 할머니들은 대부분 돌아가시지 않았나”라고 말했다.
여기에 보수인사가 개입하면서 문제가 복잡해졌다. 2005년 지만원 시스템클럽 대표는 심미자 할머니와 인터뷰를 한 뒤 시스템클럽 홈페이지에 ‘위안부 문제를 해부한다’는 글을 올렸다. 여기서 지 대표는 위안부의 80%는 “살림이 어려워 스스로 몸을 팔아 생계를 유지한 창녀”라고 표현해 논란의 중심에 섰다.
지 대표는 “당시 심 할머니가 자신처럼 일본군에 끌려간 사람은 20%에 불과하다는 말을 했었다”고 말했다. 지 대표는 이어 “정대협은 이름부터가 잘못됐다. 근로정신대는 위안부와 달리 여성인력을 동원해 후방에서 군수공장을 돌린 것인데, 정대협이란 이름이 정신대의 명예를 훼손하고 있는 것 아니냐”며, 일본군 위안부에 관한 생각은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1000번째 수요시위에 대해 그는 “지금은 위안부 문제 외에 신경쓸 것이 많아 별다른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위안부 평화비도 일본정부 반대로 지연
또다른 보수단체는 일본군 위안부의 존재를 공공연히 부정해온 우익 인사를 한국에 초청해 대북전단 살포를 시도한 적도 있었다. 지난 3월 국민행동본부(본부장 서정갑)는 대표적 극우 논객 니시오카 쓰토무 도쿄기독교대 교수를 불러 강원 철원군 백마고지에서 대북전단 살포를 시도했다. 인근 주민들은 “긴장 국면이 조성되면 지역경제가 타격을 받는다”며 전단 살포를 무산시켰다.
1997년 1월 15일에 열린 수요시위에서 위안부 피해자 김은례 할머니(2008년 사망)가 국민기금에 반대하는 피켓을 들고 있다. / 정대협 제공
서정갑 본부장은 올 3월 <주간경향>과의 인터뷰에서 “니시오카 교수의 과거보다는 최근 행적을 봐야 한다”며, 북한인권 문제에 있어 뜻을 같이하기 때문에 초청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12월 14일로 예정된 1000번째 수요시위 ‘고춧가루 뿌리기’에 나섰다. 정대협은 시위 당일 일본대사관 맞은편에 위안부 평화비를 세울 계획이다. 하지만 9월 27일 일본 외무성이 “(평화비가) 일·한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며 한국 정부에 ‘적절한 대응’을 주문한 뒤 지금까지 종로구청의 평화비 건립 인가가 미뤄지고 있다.
정대협 측은 평화비 건립계획이 발표된 7월만 해도 종로구청이 협력적인 입장이었다고 전했다. 하지만 9월 이후 인가가 계속 미뤄지면서 급기야 70대 정대협 자원활동가가 종로구청 앞에서 1인시위를 벌이는 일까지 일어났다. 종로구청 측은 “압력이 들어와 허가를 내주지 않는 것은 아니다”라는 입장이다.
평화비와 함께 정대협이 추진하던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은 독립운동 단체의 반대에 부딪혔다. 2008년 정대협은 서울시로부터 서대문 독립공원 내에 박물관 설치를 허가받았다. 하지만 광복회가 “위안부 박물관 건립 추진은 독립유공자와 순국선열에 대한 존경심을 훼손하는 행위다”라며 건립에 반대하면서 박물관 부지는 서울 마포구의 성미산으로 옮겨졌다.
안선미 정대협 팀장은 “광복회의 반대는 우리 사회에 공고히 자리잡은 시선과 의식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정대협이 박물관을 세우려는 이유도 이러한 벽을 깨뜨리고 다음 세대가 이 역사를 배워서 평화와 인권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하려는 데 있다”고 말했다.
< 백철 기자 pudmaker@kyunghyang.com>
원문보기: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artid=201112061801261&code=115#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