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살림돋보기

알짜배기 살림정보가 가득!

유리용기 구분과 강화유리의 위험

| 조회수 : 40,862 | 추천수 : 253
작성일 : 2008-06-27 00:03:50
좀전에 보니 '불만제로' 자폭유리그릇 촬영분 방송금지 결정 이라는 기사가 떴네요

http://star.moneytoday.co.kr/view/stview.php?no=2008062619354291094&type=1&ou...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806241601061001

http://sports.chosun.com/news/ntype2.htm?ut=1&name=/news/entertainment/200806...

<폭발사례들 발췌>

http://blog.naver.com/limhye74/130029661505

http://www.82cook.com/zb41/zboard.php?id=sal&page=1&sn1=&divpage=5&sn=off&ss=...  ..

http://www.consumernews.co.kr/news/view.html?pid=50135&cate=&page= : 소비자뉴스

http://www.nking.com/photo/view.html?bid=photo&pid=4529  ..

이밖에도 폭발사례들 무수히 많더군요. 지금까지 이슈화 안된게 더 신기해요


밑줄아래의 내용은 제가 작년 10월 초쯤에 다른 사이트에 올렸던 글입니다
유리용기 구매과정에서 이것저것 알아본 것들을 정리한 것입니다

그당시에 알아보다가 강화유리 비산의 위험때문에 충격먹어서 불만제로는 이런거 왜 안하나 몰라 이랬었는데 역시 법은 국민의 안전보다는 자본을 위한다는걸 다시 한번 보여주네요

해당 프로그램이 방영되면 제가 생각했었던 것처럼 삼*유리의 주가는 수직낙하할 것이며 락앤락같은 내열유리제품생산업체의 주가는 상승할것이 뻔합니다
그러니 삼*유리가 죽자살자 방송저지하고 있는거죠.

그러나, 소비자의 안전을 생각한다면 불만제로 '자폭유리그릇'편은 방송되어야 합니다

============================================================================================
(아래내용은 07년 10월에 작성한 것입니다. 이 시기이후 업체마다 다양한 버전의 업그레이드(밀폐뚜껑제품 생산 등)가 계속되고 있으니 감안하고 봐주세요.)

환경호르몬이 검출된다는 플라스틱(PC)제품의 밀폐용기를 유리용기로 대체하기 위해 이것저것 알아보고 있습니다
우앗.. 뭔 유리의 종류가 이렇게 다르고 가격도 천차만별인것인가??

심사숙고 한 결과 하나로 골라두었지만 장시간의 서핑질에 따른 수고가 잊혀지기 전에 이렇게 흔적을 남기고 갑니다


한국유리공업협동조합과 소보원에서 인정하는 유리의 종류

1.일반유리

2.강화유리

3.내열유리

4.초내열유리

5.크리스탈유리

위의 종류이외에는 인정되지 않은 종류입니다. 즉,내열강화유리라는 말은 잘못된 표기법입니다.
내열강화유리란 없는 거죠. 하지만 내열강화유리라고 당당히 광고하는 업체(!)도 있고, 신문기사나 방송에서도 구분없이 마구 이 용어를 마구 남발하니 소비자들이 내열강화유리가 내열+강화 기능이 있나보다 하고 오해하시는 거 같습니다. 절대 아니에요. 내열강화유리는 강화유리입니다
왜냐하면, 내열유리와 강화유리는 제조공법자체와  유리를 만드는 원재료가 엄격하게 다르기 때문입니다,


1. 일반유리

주성분 : 소다석회
단점 : 잘깨지고 열에 약하다
장점 : 가격-저가(가격이 고가라면 대부분 디자인값)
브랜드 : 보르미올리, 피도, 이케아, 두산세이브팩 등의 유리용기

일반유리컵을 렌지에 돌렸을때 정확히 이등분으로 깨진 경험이 있음.
가루같은 유리가루 없었으며 거의 정확히 두조각 난 것에 신기했었음
치우기 힘들지 않아서 그나마 다행 ^^;;


2. 강화유리

주성분 : 소다석회        
장점 : 일반유리에 유리를 덧입혀 열처리가 되어 조금더 충격에 강하다.
          식탁유리나 책상유리등으로 사용됨
        그러나, 열이 아닌 물리적 충격에만 강하다는것에 유의

단점 :1. 두껍고 무겁다.(사소하군)
        2. 오븐요리 사용불가.전자렌지 가능
        3. 내열성 취약 : 내열유리대비 급열 급냉 취약( 깨지기 쉽다는 소리)
        3. 투명도 약함
        4. 제일 중요한 것 : 파열시 비산있음.
           깨질때 작고 날카로운 유리조각이 멀리 날아서 흩어진다는 것
           일본 초등학교 급식시간 배식을 받던 학생이 강화유리 식기가 떨어지면서, 비산하여 안구에
           손상을 입어서 현재 일본에서는 학교 급식에 부적격 판정을 받았으며 생산하지 않는다 함
         5. 그러나 가장 걱정되는 건 유리를 덧입혀 열처리를 하는 과정의 불안정함, 유통과정에서의 눈에 보이지
           않는 물리적충격 등으로 열이나 물리적 충격이 아닌 그냥 가만히 둔 상태에서 자연 폭발했다는 사례가 늘
           고있다는 것.
           모 제조사 인터뷰를 보니 그런 불량품을 가려낼 수 없는 처지라 어떤게 폭발할지 모른다고, 극히 일부라
           고 주장하지만 이미 그 사실 자체만으로 내게는 반입불가 물품이다
          
브랜드 : 삼광유리 글라스락

강화유리라 안심하고 사용하다 여러번 깨트렸음.
물리적 충격에는 강하다고 하나 열에 의한 충격에 상당히 약함.
결론은...
강화유리도 깨질놈은 잘 깨진다.

주방바닥 전체에 흩뿌려진 유리가루는 빗자루, 진공청소기, 여러번의 물걸레질, 찍찍이테이프까지 동원했건만 상당한 기간을 두고두고 여기저기서 반짝거렸음. 제대로 짜증나서 다시는 강화유리제품을 안살거라는 각오를 다지게 함.
일반유리 열개 깨트리는게 강화유리 하나깨트리는것보다 청소하기 편하다고 봄.


3. 내열유리

주성분 : 소다석회 + 붕산(붕규산유리)

장점 :
1. 오븐요리 가능. 전자렌지 가능
2. 내열성 우수 : 급열,급냉 우수 (허용차 120도~150도 이상)
3. 무게 : 가볍고 얇다
4. 투명성 : 높음
5. 파열시 비산없음(일반유리와 동일,안전) - 일본 주사용

단점 : 가격-고가
브랜드 : 락앤락 글라스(하나코비),코멕스산업,썬라이즈


4. 초내열유리

유리세라믹
급격한 가열냉각에 잘 견딤(허용온도차 400도 이상)
용도 : 냄비나 후라이팬등으로 사용되고 있음


5. 크리스탈유리

주성분 : 규선분,산화염,탄산칼슘
강도가 일반유리보다 훨씬 높고(튼튼) 깨질때 모래알처럼 순식간에 동글동글하게 깨져버림(안전)
용도 : 와인잔,고급식기,장식용,광학용, 박물관진열용


이것저것 알아본 결과 상당히 생각할 만한 점이 많았습니다
처음엔 언론에 많이 노출된 글라스락을 사려고 했으나 알아보니 웃기는 점이 많더군요
1년사이 삼광유리의 주가를 거의 네배로 올려놓은 글라스락의 실체는 위험한 강화유리 였더라구요. 끓는 물에도 깨지지 않는다고 광고하던 글라스락 구입후 전자렌지에는 되지만 오븐요리는 못한다는걸 뒤늦게 알고 후회하시는 분들의 성토도 엄청 많았습니다. 일반유리도 잘만 끓이면 안깨집니다
파열시 비산이 높고, 오븐요리사용불가라는 건 일체 함구하는 삼광유리의 주가가 어디까지 올라갈지 궁금합니다
일본 학교에서는 사용조차 중단한 강화유리 제품에 열광해 순식간에 주가를 네배로 올려놓은 한국의 소비자들에게 경의(?)를... ㅡ.ㅡ;;


삼광유리의 불시의 습격으로 그전까지 밀폐용기계의 최강자였다가 한순간에 나락으로 떨어진 락앤락.
방송사(S사)와 업체간에 모종의 음모가 있었다는 얘기까지 나돌았으나 결국 대세를 따르기 위해 유리제품을 출시하였지요
절치부심하여 일본과 제휴하여  2007년 여름에 후발주자를 내놓았으니 락앤락 글라스입니다. 얘네들 광고의 주안점은 파열시 비산이 높은 강화유리가 아니라 내열유리로 만들었다는 것이며 가격도 글라스락에 비하여 고가입니다
아직 역전은 못했지만 여기도 K사 이모PD의 소비자 고발이나 M사의 불만제로 같은 프로그램과 손을 잡고 파열시 비산의 위험 어쩌고 저쩌고 하며 방송한번 터트려 주면 순식간에 글라스락을 제칠 수 있을거라는게 제 생각입니다 ㅋㅋ

그러나, 일본 이와키사와의 제휴라는 걸 조금 더 정확히 뜯어보니, 이와키사의 태국 공장에서 몸체를 만들고 뚜껑은 한국 락앤락이 제조했다고 나오니, 즉  일본업체의 유리용기를 수입해다가 뚜껑(디자인이 예뻐보이지만 밀폐는 안되는 평범한 플라스틱 뚜껑이라는거 ㅡ.ㅡ;)만 락앤락에서 만들어서 내놓았다는 사실.

여기서 잠깐... 일본과 손을 잡다?? 그럼 한국은 내열유리 만드는기술이 없는 것인가?
여차저차 자세한 상황은 생략하고 대답은 아니다 입니다.
밀폐조차 안되는 플라스틱 뚜껑값과 내열유리용기의 값을 비교해보자구요
좋은 말로 제휴지 실상은 락앤락은 이와키사의 판매대행사라고 밖엔 보이지않습니다
유리용기를 사다가 플라스틱뚜껑과 종이박스만 제조해서 몇배로 튀겨서 팔아먹고 있다는 얘기지요
글라스락 이겨먹고자 하는 짓이 자존심은 어디다 버리고 고작 이거더냐
다른 업체또한 같은 상황이라는 점이 정말 안타깝습니다 ㅡ.ㅜ

싼맛에 세이브팩을 살까 좀 더들여서 글라스락 살까 망설이다 알아본 결과는 둘다 사지 말자였습니다.
싱글인 저도 노파심에 파열시가 걱정이 되는데, 성장기 아이가 있는 집이나 눈이 어두운 노인이 계신 집이라면 특히나 권하고 싶지않습니다. (유비무환이지요)
그래서 결국 내열유리로 사기로 했지만 터무니없이 비싼 락앤락제품은 아닙니다
무얼 골랐는지는 아무도 궁금해하지 않으시겠지만 비밀이라는... ^^;;

그리고 이어진 식약청의 뒷북 : 두둥~ "PC제품 안전성에 문제없다"라는게 공식입장이라나 뭐라나.
5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긴팔원숭이
    '08.6.27 12:10 AM

    음...글라스락 이유식 보관용기로 사용하고 있는데 걱정이 되네요..
    그냥 중탕으로 데워먹이니까 상관없을려나요?

  • 2. 카페라떼
    '08.6.27 12:15 AM

    어쩐지...
    얼마 전에 엄청 저렴한 가격에 글라스락 한세트 들여놓고 락앤락 플라스틱 치워버렸는데...
    어쩌죠?
    도로 플라스틱으로 회귀해야 하나...

  • 3. 해일
    '08.6.27 12:42 AM

    블루님!! 좋은정보 잘봤어요.
    그리고 궁금해요....결국 어디제품 사셨는지.^^

  • 4. 레드썬
    '08.6.27 12:46 AM

    열심히 알아내신 정보 이렇게 요약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 5. 프로방스
    '08.6.27 12:48 AM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6. 아델라
    '08.6.27 1:15 AM

    어쩐지 불만제로 열심 기다렸는데 예전방송만 나와서 뭔가 문제가 있나보다 했는데...
    그럼 뭘 사서 환경호르몬에서 내 딸을 구해야할지...ㅠㅠ

  • 7. Blue
    '08.6.27 1:23 AM

    보덤 코로나로 검색해보니 '내열강화유리'라고 설명되어 있지만
    재질이 '소다석회'이고 강화처리되었다고 나오는 걸로 보아 강화유리네요

    내열유리제품이 나오기전 강화유리제품광고는 대부분 '내열강화유리'라고 했습니다
    내열유리제품이 본격적으로 나온 이후에야 강화유리와 내열유리를 구분해서 표시하고있습니다
    내열유리생산업체쪽에서 둘의 차이를 적극적으로 광고하면서부터죠
    하지만 '내열강화유리'라는 건 없다고 하네요
    내열강화유리라고 표시된건 거의 강화유리라고 생각합니다

  • 8. 지우란다
    '08.6.27 1:54 AM

    글라스락 사려다가 참고 있었는데 정말 고맙습니다 ^^!

  • 9. rulury
    '08.6.27 5:26 AM

    보덤도 가열하지마세요.
    우유 중탕할려고 냄비에 넣었다가
    물넣은 부분만 동그랗게 깨져서 놀랬어요.
    열에 약한 강화유리가 맞나봐요.

  • 10. 또하나의풍경
    '08.6.27 8:22 AM

    저도 글라스락 사려고 두눈이 시뻘겋게 되어있었는데 ^^; 이 글을 읽으니 지름신이 살포시 가시네요 ^^;

  • 11. Gina
    '08.6.27 9:00 AM

    파란 뚜껑 파이렉스는 어떨까요?

  • 12. Blue
    '08.6.27 9:13 AM

    Gina님 깜짝 놀랐습니다 >.<
    제가 산것이 바로 그것입니다. 파란뚜껑의 파이*스
    내열유리의 본좌라고 얼핏 줏어들었어요(뭐 사실인지 아닌지는 ㅡ.ㅡ;;)
    이거 미국산이던데 얘도 다른 업체와 마찬가지로 코렐에서 수입해다가 파는것 같아요
    (그런데 코렐이 국내기업이긴 한가요?)
    광고로 보일까봐 이건 살며시 빼고 적었는데...
    그런데 궁금하신 분이 많은가 봐요. 쪽지가 밤새 날라왔어요 ^^;;
    제가 이거 살때는 내열유리시장이 발동걸릴시기라 국내 다른업체들은 제품라인이 빈약했지만 지금은 업체마다 한두단계씩 업그레이드된 제품들이 나와있는것 같습니다
    디자인도 예쁘고 세련되고 암튼 탐나는건 많지만
    저는 이미 저지른 터라 더이상은 알아보고 있지 않답니다

  • 13. 푸른바다
    '08.6.27 9:13 AM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 14. 도야엄마
    '08.6.27 9:36 AM

    정말 좋은 정보에요.
    냉동보관용기 몇가지 빼곤, 대부분 요리용기로 바꾸었어요.
    다행으로, 삼* 유리의 글라스락 제품은 없었어요. ^^;; 썬라이즈랑 루미낙제품이 대부분이네요.
    그래도, 안심할 수 없다는거..
    정말, 어떤걸 믿고 선택구입해야 할지. 정말 망설여집니다.

  • 15. 물레방아
    '08.6.27 9:47 AM

    제가 애용하는 한국생협에서
    요즈음 붕규산 유리제품을 판매합니다
    유럽쪽에서는 식기전용 유리그릇은 붕규산 유리그릇을 쓴다네요
    ------붕규산유리는 내냉온도 -50℃, 내열온도 +500℃이므로 냉장고에서 바로 전자레인지 및 오븐요리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직화(直火) 금지
    ------뚜껑이 실리콘과 다른 것으로 되어있고, 소다석회 유리그릇 쓰던게 있는지라
    아직 써보지는 않았는데요
    생협을 어느 정도는 빋고 사는 소비자 여서 소개해봅니다

  • 16. Gina
    '08.6.27 9:47 AM

    ~ㅎ^^
    특별히 가열하거나 막 끓은 것을 집어 넣지만 않고,
    유리라는걸 인지하면서 조심히 쓴다면 별다른 위험은 없을것 같은데.
    (참.. 보덤 하얀뚜껑은 냉동실에 넣어도 된다고 하더라구요.
    요건 뚜껑에 밴 냄새나 김치물 같은것이 씻어두면 자연스럽게 사라져서 좋음
    나쁜건 깨졌을때 산산조각이 나서 파편 치우는게 힘이드는거)
    저는 파이렉스랑 보덤 하얀뚜껑 두가지종류를 쓰고 있는데
    그런대로. 그럭저럭 만족하고 쓰고 있어요.
    (파이렉스는 아직 깨진적이 없어서 잘은 모르겠고,
    혹시 구입하실거면 어떤것들은 뚜껑이 조금 헐겁기도 하니까 잘 살펴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 17. 사발
    '08.6.27 10:51 AM

    보덤 머그컵 셋트를 살려고 했었는데 안사길 잘했네요! ^-^! 감사합니다~

  • 18. Blue
    '08.6.27 12:02 PM

    붕규산유리가 내열유리에요 ^^

  • 19. 탱여사
    '08.6.27 12:56 PM

    글라*락 2년째 잘 쓰고 있는데

    유비무환이라....어쩐다지

    어떤 걸 다시 구입해야하나

  • 20. 좋은 하루
    '08.6.27 1:40 PM

    글라스락 한번 깨먹고 정형외과 가서 유리 조각을 뽑았었습니다. 정말 산산 조각이 나더군요

  • 21.
    '08.6.27 1:46 PM

    전 파이렉스용기 10년전부터 사용하다 2-3년전 글라스락의 용기가 딱 사용하시 좋길래 요즘은
    글라스락을 주로 사용했거든요 바보였네요 다시 파이렉스로 원위치해야겠어요 ㅎㅎ

  • 22. 다이애나맘
    '08.6.27 2:38 PM

    맞아요.
    유리 잘 깨먹는 사람인데요.
    강화유리인가 뭐시인가는 치운지 한참후에도
    구석탱이에서 나와서 제 발에 꽂혔어요.
    깨질때도 삐죽삐죽 뭐 이런유리가 있나 했더니만...
    절대 안전하지않아요.

  • 23. 다이애나맘
    '08.6.27 2:39 PM

    그러면 어떤걸 구입해야 하나요?
    제가 좀 난독증?이 있어서요.
    너무 헷갈려요.
    어디 업체것을 사용해야 하나요?

  • 24. Blue
    '08.6.27 2:52 PM

    다이애나맘님 강화유리만 피하시면 될것 같은데요
    내열유리제품을 구입하실려면

    락앤락 글라스, 썬라이즈, 코멕스산업, 파이렉스

    제품중에서 구입하시면 됩니다. 더 많은 제품이 있겠지만 제가 아는 건 이것밖에 없어요 ^^;;

  • 25. 호호아줌마
    '08.6.27 4:01 PM

    그렇군요...
    강화유리라 해서..
    열이나.. 충격에 안전한 줄 알았어요

  • 26. 아이사
    '08.6.27 5:29 PM

    작년 결혼할 때 환경호르몬 피해 유리용기 산다고
    홈쇼핑에서 글라스락 세트로 질렀는데.. T.T
    역시 아는게 힘이네요.

  • 27. 유후~
    '08.6.27 9:43 PM

    안그래도 뭘로 구입할까 고민이었는데...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28. 반짝반짝 작은별
    '08.6.27 9:43 PM

    친절한 설명 정말 감사해요.

    전 종류별로 골고루 쓰고 있는데 (제가 수납 용기사모으는 걸 좀 좋아해서...--;;)

    파이렉스는 정말 음식 담아서 냉장고에 넣었다가 오븐으로 바로 직행 하죠. 아주 편하게 써요. 물론 밀페력은 별로지만. 그리고 글라스락 (제가 외국 살아서 한국 갔을때 사가지고 이고지고 왔었죠. 어흑....)은 렌지에만 넣는데...주로 냉동실에서 아기 음식 꺼내서 밖에 좀 놔 두었다가 넣는데...이건 이제 안 해야 될까봐요. 아예 냉동,렌지는 피해야 겠네요. 아깝지만...그냥 냉장만....

    어쨌던 엄마가 글라스락 사서 일본사는 오빠네 보내시겠다고 하셨는데. 그러실 필요 없겠네요. 그냥 거기서 구해서 사는게 더 나을듯.

    긴글 정말 감사해요~

  • 29. ㅎㅎ..
    '08.6.27 10:22 PM

    파이렉스라면 코닝사에서 나오는 거 아닌가요? 코렐만드는 그 회사..
    거기도 안전하지 않습니다. 삼*유리 글라스락이 히트쳤던 건 그 내열유리의 유해성 논란이 한창 있어서이기도 합니다. 코렐, 비젼용기 다 한동안 말 많았던 겁니다.
    더 자세히 알아보고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 30. Blue
    '08.6.28 12:17 AM

    ㅎㅎ..님 제가 자세히 알아본 결과는요
    글라스락이 히트쳤던건 락앤락이 주도하고 있던 플라스틱밀폐용기의 환경호르몬검출유해성논란때문이었답니다
    내열유리의 유해성논란때문이 아니구요
    S사의 유해성논란방송으로 갑자기 유리광풍이 불었구요. 그래서 이미 강화유리로 밀폐용기를 만들고 있던 삼*유리가 1인자로 떠오르면서 락앤락은 결국 플라스틱으로는 어쩔수 없다는 판단하에 락앤락글라스를 07년 여름 출시한 겁니다
    나중에 식약청에서 뒷북으로 'PC제품 안전에 이상없다'는 발표를 했지만, 이미 방송으로 소비자들의 뇌리에 박힌 유해성 논란은 잊혀지질 않는거죠
    그래서 이번에 삼*유리가 기를 쓰고 불만제로 자폭유리편 방송을 저지한 거겠죠
    이미 한번 맛봤던 방송의 힘. 역으로 당할 거라는거 뻔하지 않습니까
    하지만 국산이던 중국산이던 일본산이던 강화유리자체의 비산의 위험은 이미 여러곳에서 증명된바 있습니다.
    바른 정보를 제공한 후에 이를 선택하는건 소비자의 몫입니다
    강화유리던 내열유리던 PC제품이던 자세한 내용을 알고 사용하며 대처하는 것과 모르고 그저 광고에만 현혹되어 사용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
    해당 제품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알고 대처하시길 바라며 글을 올린 것입니다

  • 31. Blue
    '08.6.28 12:54 AM

    또한 지금 불고 있는 유리의 유해성 논란은 삼광유리와 하나코비(락앤락) 간의 논란입니다
    문제는 이것이 강화유리 대 내열유리의 유해성이 아닌 '강화유리'만의 논란이라는 겁니다

    락앤락측에서 강화유리의 유해성을 적극 공지하며 자사 제품의 안전성을 홍보하고 있고, 삼광유리측에서 이를 부당 비교광고로 문제삼아 딴지를 거는 것이지 내열유리가 유해하다는 논란이 아니랍니다

    저도 몇년전에 불어닥친 유리의 유해성 논란을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건 내열유리의 문제만이 아니었어요. 강화유리도 납이 들어간다나 어쩐다나 암튼...
    여차저차 '논란'만으로 끝난 일이었지요. 이 논란의 결과로 많은 가정에서 스텐용기를 대량구입하셨을 걸로 압니다
    하지만 모든면에서 완전무결하다고 내놓을 수 있는 제품이 어디 있겠습니까?
    스텐도 음식의 성질에 따라서 안좋을 수 있답니다. 결국 돌고 돌아 유리로 온거죠.

    제가 이글을 올린건 강화유리제품을 두번이나 깨뜨려서 피를 본적이 있기때문입니다
    한번은 강화유리병에 뜨거운 물을 붓다가 '퍽'하고 산산히 부셔졌고. 또한번은 그 유명한 글*스락에 넣어 냉동실에 보관한 밥을 전자렌지로 해동하는 과정에서 폭발해버린 경우였습니다

    플라스틱유해성 논란에 당시 유행하던 강화유리제품을 구입한건데 이런 경우가 발생하니 좀 알아보고 구입하자 싶어 열심히 '서핑질'을 해댄 결과가 위의 본문입니다

  • 32. 혼스비
    '08.6.28 1:20 AM

    블루님..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이 글 펌이라 표시하고 다른 곳에 퍼가도 될까요??

  • 33. 긴팔원숭이
    '08.6.28 8:56 AM

    님 넘 감사해요..
    아기 이유식 글라스락에 담아서 냉장했다가 중탕으로 데워먹이고 있었는데
    이제 보관만 하고 데울때는 스탠 밥그릇에 옮겨서 데워야겠네요~
    몰랐음 큰일날뻔 했어요...

  • 34. 예쁜이
    '08.6.28 11:26 AM

    파이xx는 가격이나 품질은 좋지만 결정적으로 밀폐가 안되서 저도 사는 걸 멈추었어요. 그리고 계속 물색 하다가 글라스x의 함정에 바졌는데 얘는 파이xx보다 더 무거워요..그리고 이글을 읽어 보니 위험한 거여쓰~~흑흑 어떡혀~~
    진정 완벽한 유리 밀폐 용기는 없는건지.

  • 35. 에밀리
    '08.6.28 1:39 PM

    정말 유용한 정보입니다.
    늘 내열강화유리에 대해 고민이 많았는데 고맙습니다.

  • 36. 사탕발림
    '08.6.28 2:23 PM

    글라스락 사고 싶은 걸 꾹 참고 있는 것들로 버티고 있었는데, 정말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밀폐력만 믿고 냉장고를 가득 채우는 것보다 신선한 재료들로 그때그때 요리해 먹는 게 최고인 것 같아요. ㅠㅠ
    필요한 것 몇 개만 내열유리로 사서 써 봐야 겠어요.
    저도 얼마 전 유리컵 깨뜨려서 발바닥에 박혔던 경험이 있는지라 비산의 위험성이 바로 느껴집니다.

  • 37. 야야
    '08.6.28 8:19 PM

    어렵긴 하지만 좋은 정보에요.. 꼭 나중에 다시 봐야겠네요

  • 38. 링링
    '08.6.29 12:05 AM - 삭제된댓글

    ㅎㅎ님 말씀도 틀린 말 아닙니다
    비젼이나 코렐 파이렉스 모두 논란이 됐었죠
    유리라도 성분중에 금속을 사용한다고 들었습니다
    그것이 문제가 된다는 내용으로 압니다
    완전무결한 소재는 없겠죠
    제가 미국에서 파이렉스를 한박스 사갖고 왔는데 얼마뒤 미국, 유럽에서 그런 논쟁이 일어오랜기간 보관만 하다 특별한 대안이 없어서 그냥 쓰고 있네요
    김치통으로요 ㅋㅋ

  • 39. 슈걸
    '08.6.29 7:48 AM

    저도 글라스락을 이유식용으로 사려다가 옥션에서 아기용품 얼마이상 사면 글라스락 5개 주는 행사가 있어서 받아가지고 잘 쓰고 있었거든요
    이유식 하는 엄마들은 대부분 글라스락 쓰려고 생각하시더라구요
    근데 폭발했다는 얘기를 많이 들어서 당췌 무슨 말인가 했는데 그말이었군요

    blue님 글이랑 리플들 읽어보고 오랜 고민의 결론을 내렸습니다
    걍 스뎅용기를 여러개 사서 오븐용 그릇을 이용해서 녹히고 데우고 해야겠어요
    꼭 밀폐가 필요한 경우나 냉동실 들어가야할 경우는 식혀서 플라스틱 써야죠 뭐...

    플라스틱도 못써, 유리도 못써...
    정말 내 아이가 어른이 되었을땐 무엇을 먹고, 무엇을 입고, 무엇을 사용하며, 어떤 물을 마시고, 어떤 공기를 숨쉬며 살아갈까요 ㅠ,ㅠ 너무나 걱정이 되네요

  • 40. 아나이스
    '08.6.29 10:24 PM

    이삼년전 불었던<환경호르몬의 공포>의 광풍-아..그때 82 게시판 또 대단했었죠..^^;;-은 밀폐용기계의 <농심:삼양戰>이라고 봐야 할 것 같아요.

  • 41. 루하마
    '08.6.30 9:39 AM - 삭제된댓글

    이제야.. 좀 정리가 됩니다.
    고백하건데... '글*스 락'도 '락앤*' 과 제조사가 같은 줄 알았었어요 ㅜㅜ
    주변 맘들도 대부분 '글*스 락'과 '락앤* 글라스'가 같은 제품인줄 알던데요..
    이름도 헷갈리게 해놓고 말이죠,,
    무식하면 용감하다고 했던가요.
    당장 모두 폐기처분하렵니다!
    블루님, 너무 감사드려요^^

  • 42. 깡쌤~
    '08.7.1 1:25 PM

    어쩌죠,, 7월가격인상확정이란 문구에 얼마전 글라스락 질러서 오늘 아침에 받았거든요,,
    쓸까요 말까요 계속 헷갈리는중 ㅠㅠ 미쳐~~@.@

  • 43. 깡쌤~
    '08.7.1 1:29 PM

    파*렉스 파란뚜껑은 혹시 코스트코에서 파나요? 얼마에요???

  • 44. 이쁜이
    '08.7.2 12:01 PM

    좋은 정보 감사 감사 얼마전 6월 4째주 인상이란 소리 듣고 질르려고 하다가 집에 있는 타파용기가 넘 아까워 포기 했는데 역시 잘 햇군요 앞으로 사게 되더라고 참고 할께요 그리고 아직까지 젤 나은것은 스덴제품인것 같아요 타파도 좋고요 인상이란 소리에 참기 힘들었느데 오늘 보람 있네요

  • 45. 단과자
    '08.7.2 1:27 PM

    그나마 저렴해서 구입해서 사용중인데..문제가 또 있네요. 괜히 샀다는 기분이 드네요.

  • 46. 쌍둥맘
    '08.7.5 9:25 AM

    마저요 스텐으로된 반찬통 좋구요 (저는 다이소꺼 싸구 좋더라구요)
    *15년전에 듀라렉스 한세트 선물 받았던거 요즘 쓰기시작했는데요
    접시한장 깨졌는데요 유리가 크리스탈유리라서 동글동글깨져서요
    참 안전해보였어요
    듀라렉스 더 구입해볼려고 검색했는데 잘 안나오긴 하네요

  • 47. 희야
    '08.7.5 8:16 PM

    유용한 정보 감사드려요.

    글라*락 낱개로 몇개 쓰고 있다가 편해서 세트로 구입할려고 했었는데 다른 제품으로
    구입해야겠어요.

    .....에고....저땜에 글라*락으로 바꾼 울 언니한테 이 얘길 어찌 전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세트로 왕창 구입했거든요.... 난 죽었당...-.-;;

  • 48. 다솔맘
    '08.7.5 11:07 PM

    할부가 이제 끝났는데 버려야 하나요???

  • 49. Blue
    '08.7.17 12:02 AM

    희야님, 다솔맘님 웃으면 안되는데 ^^;;
    댓글이 너무 웃겨요 ㅋㅋ

  • 50. 밀크티홀릭~*
    '08.10.11 2:11 PM

    보덤 코로나 컵은 보로실리케이트로 만들어요.. 내열유리랍니다.

  • 51. Blue
    '08.10.11 7:46 PM

    보덤 코로나의 경우 찾아보니 보로실리케이트제품과 소다석회제품(강화처리) 모두 있네요
    사이트마다 설명이 달라서 헷갈립니다.
    직접 제품에 써있는 걸 보지 않는 이상 확신을 못하겠어요^^;;

  • 52. 나무
    '08.10.14 6:33 PM

    좋은글 보고 가요 코렐이랑 비젼도 문제가 있었다는거 몰랐네요.
    울 남편이 유리에도 납들어간다.
    먹고 죽는것도 아니고 온도가 올라가면 음식물로 스며들기도하는데
    문제는 그 온도가 얼마나 높고 낮은가의 차이다~ 이라면서 열변하던게 생각나네요.

    스뎅도 700도 이하에서는 변경이 거이 없어서 좋다고 하는거라고..
    단지 산에 약하고
    어떤 조합으로 만드냐에따라서 녹이 잘 슬기도하고 녹이 잘 안슬기도한다고..

    애고 머리야~
    이러나 저러나 저가품은 저가의 원자재로 만드니 조심하라는.. 그런 말이더군요.
    짝퉁쓰지말고.

  • 53. 별공
    '08.10.24 3:00 AM

    저는 글라스락과 락앤락글라스 두개다 사용중인데, 선반에 올려놓았던 락앤락글라스가 어느날 보니 반동강 나있더라구요...그리고 바닥여기저기서 쪼그만 유리조각들에 발이 찔렸었구요... 불만제로 방송불가되었다는 얘길듣고 그제품이 락앤락글라스였구나 했는데, 글라스락이라니...
    둘다 못 믿겠어요...흑 모두 애기 이유식용이었는데... 다 치워야겠어요

  • 클로버
    '11.9.30 11:46 PM

    여기 더 자세한 글 찾아왔어요
    http://www.82cook.com/entiz/read.php?bn=1

  • 클로버
    '11.9.30 11:54 PM

    하나 더 자세한거 찾아왔어요
    http://www.82cook.com/entiz/read.php?bn=1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5841 자게에 햇양파 ..이렇게 생긴거 맞나요? 4 잘될꺼야! 2024.03.23 1,794 0
15840 사진속 냄비 뭐라고 검색해야 될까요? 2 산내들 2024.03.07 1,800 0
15839 여쭙세븐에이드 AS 지미 2023.07.14 2,174 0
15838 창문형 에어컨 설치한거 올려봅니다 5 Mate_Real 2023.07.12 4,745 0
15837 곰솥 구매하려구합니다. 추천 부탁드려봅니다 7 chris 2022.11.01 5,441 0
15836 기포기 4 방실방실 2022.03.17 12,555 0
15835 후라이팬 4 아줌마 2022.02.12 14,803 1
15834 궁금해요)대학병원 가면 진료실 앞에 있는 간호사 23 엘리제 2021.10.13 25,930 0
15833 (사진 첨부 후 재업로드) 무쇠팬 이거 망한 건가요? 9 가릉빈가 2021.01.05 22,584 0
15832 중학생 핸드폰 어떻게 해야할가요? 7 오늘을열심히 2020.12.12 16,703 0
15831 건조기 직렬 설치시 버튼이 넘 높아요 6 두바퀴 2020.10.28 18,014 0
15830 빌보 프렌치 가든- 밥그릇 국그릇 문의 4 알뜰 2020.02.26 24,549 0
15829 에어컨 실외기 설치 사례 5 abcd 2019.08.08 28,068 0
15828 싱크대 배수망 10 철이댁 2019.06.24 27,871 0
15827 싱글 침대 5 빗줄기 2019.03.04 21,997 0
15826 하수구 냄새 8 철이댁 2018.11.06 28,214 1
15825 동대문에서 커텐 하신 다나님 ( 해* 하우스에서 솔파 2018.11.04 20,745 0
15824 김을 잘라 김가루 만들기 22 쯩호엄마 2017.12.17 49,820 2
15823 에어프라이어 코팅벗겨졌을때 해결방법 대박 17 arbor 2017.12.11 61,297 4
15822 다이슨 청소기 구입계획 있으신 분들 확인하고 구입하셔요~ 35 투동스맘 2017.11.06 52,096 0
15821 무선청소기 7 옹기종기 2017.10.20 27,427 0
15820 면생리대 직접 만들어봤어요. 5 옷만드는들꽃 2017.09.13 28,553 2
15819 31평 싱크대 리모델 했어요... 26 적폐청산 2017.08.21 62,599 0
15818 커피메이커로 차 우리기~ 5 콩나물반찬 2017.06.25 33,956 0
15817 묵은 김치냉장고 버리기 11 고고 2017.04.04 45,712 0
15816 초극세사 미용보습장갑 활용법 11 행복만땅 2017.03.01 31,560 3
15815 키친 리모델링 - 이사의 이유 126 개굴굴 2017.02.24 63,100 5
1 2 3 4 5 6 7 8 9 10 >>